한국상용소프트웨어협회가 13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개최한 포럼에서 이같은 우려가 제기됐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신경망과도 같은 클라우드 산업을 육성하려면 정부의 행정도 혁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중앙정부, 지자체, 공공기관 등 2025년 공공부문 클라우드 전환에 맞춰 행정도 진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김은주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클라우드기술지원단장은 이날 주제발표에서 “커지는 클라우드 시장을 놓고 국내외 기업들이 전쟁 중”이라며 “우리나라 기업들이 해외 선수들과 경쟁해서 이길 수 있는지가 최대 관건”이라고 화두를 던졌다.
|
글로벌 IT자문 기업 가트너에 따르면 국내 클라우드 시장은 2020년 2조7819억원 규모에서 올해 3조7238억원으로 성장할 전망이다. 전 세계 클라우드 시장 규모는 올해 4820억달러(647조원·올해 1분기 환율 기준)에서 2025년에 8375억달러(1124조원)로 커질 것으로 예측됐다.
현재는 아마존웹서비스(AWS)가 33%(이하 작년 4분기 기준)로 글로벌 클라우드 시장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이어 마이크로소프트 애저(21%), 구글 클라우드(10%), 알리바바 클라우드(6%), IBM 클라우드(4%), 세일즈포스(3%), 텐센트 클라우드(3%), 오라클(2%) 순이다.
우리 정부는 2019년에 ‘디지털 정부혁신 추진계획’을 발표하고 공공부문 클라우드 전환 사업을 추진 중이다. 관련해 정부는 2025년까지 공공기관 인터넷망을 클라우드로 교체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부처별로 흩어져 있는 행정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기 위해서다. AWS 등 해외기업이 민간 클라우드 시장을 잠식한 가운데, 공공 클라우드 시장에서는 우리나라 기업이 선전할 수 있을지가 관심사다.
|
|
이를 위해 김 단장은 기업의 자체적인 노력뿐 아니라 정부 차원의 전방위 지원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클라우드컴퓨팅 발전 및 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클라우드법)이 만들어졌지만 후속 제도개선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악마는 디테일(세부 내용)에 있다’는 말처럼 기업들이 혼선을 느끼지 않도록 후속 행정조치, 서비스 기반의 신속한 정보화 추진을 위한 행정 대혁신이 절실하다”고 꼬집었다.
업계가 클라우드 관련해 개선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부분은 다양했다. 고봉희 한국상용소프트웨어협회 사무국장은 “개발 투자 비용 및 오래 걸리는 인증 시간에 대한 걱정, 클라우드 전환 인식 차이 및 전환 판로, 수요 기관의 수요 예측과 대금 지원의 투명성 관련해 약간의 불신이 있다”며 “기업들이 사업 참여 과정에서 한계를 느끼는 것 같다”고 전했다.
이를 개선하려면 해외 사례를 면밀히 분석하고 행정을 비롯해 클라우드 생태계 전반을 혁신·지원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김 단장은 “해외 사례를 통해 우리나라에 맞는 클라우드 전략을 고민하고, 클라우드 생태계 구축에 나서야 한다”며 “우리나라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정부에 제안해 클라우드 제도개선을 만들어 가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