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우내 사라진 78억마리 꿀벌…농작물 재배 등 피해 막는다

이명철 기자I 2022.04.07 11:00:00

39만봉군 겨울철 폐사…평년比 15만봉군 감소 추정
곡물·과일 영향 크지 않아…시설원예 단기 수급 차질

[세종=이데일리 이명철 기자] 월동 중인 꿀벌 중 78억마리가 폐사 피해를 입은 것으로 알려지면서 벌꿀 수요·공급과 작물 가루받이(수분) 차질에 따른 곡물·과일 등 생산 저하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제주시 구좌읍 행원리 한 양봉농가 벌통이 비어있다. (사진=연합뉴스)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 약 39만봉군(약 78억마리) 폐사에 따른 벌꿀 수급·작물 수분 피해는 제한적으로 피해 농가 회복을 지원하고 재발 방지 대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7일 밝혔다.

지난 겨울철 꿀벌이 폐사하면서 올해 현재 양봉용 꿀벌 사육마릿수는 240만봉군으로 평년 255만 봉군대비 6%(15만봉군)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 통상 꿀벌 2만마리 정도가 하나의 봉군을 이루고 있다.

국내에선 1만5000t 정도의 벌꿀이 시장에 공급되고 있다. 평년 국내 벌꿀 생산량은 약 1만4000t으로 약 1000t을 수입 중이다.

농식품부는 이번 꿀벌 폐사가 벌꿀 공급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봤다. 현재 봉군당 평균 벌꿀 생산량은 5.5kg 수준으로 생산능력(13.7kg)대비 크게 적은 수준이다. 이에 일부 피해를 입은 봉군의 벌꿀 생산은 인근 다른 봉군들이 대체할 수 있다는 판단이다.

소비량이 많은 벼·밀·보리·콩 등 주요 곡물과 복숭아·포도는 수분용 곤충 없이도 자가 수정이 가능하다. 사과·배 등은 꽃가루 분사기로 인공 수정해 꿀벌이 필요하지 않다.

다만 하우스 과일이나 채소 등 시설원예는 가루받이에 꿀벌을 많이 활용하기 때문에 단기 수급 차질이 있었다. 현재 시설 재배면적은 5만2600ha로 시설면적 1ha당 꿀벌 마릿수는 45.6봉군이다. 이는 평년(46.8봉군)대비 소폭 감소한 수준으로 작물 재배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으로 예상했다.

(이미지=농식품부)


농식품부는 피해 회복을 위해 경영 어려움을 겪는 농가에 농축산경영자금을 농가당 1000만원 융자 지원한다. 꿀벌응애류, 꿀벌 낭충봉아부패병, 꿀벌 노제마병 등 방제 약품도 신속 지원할 예정이다.

업계가 요청한 벌 구입자금은 지자체 자체추진 사업으로 유도한다. 지역별 벌 구입자금 지원예산을 전남 140억원, 경북 109억원, 경남 8억8000만원 각각 편성했고 전북·제주 등도 입식자금 지원 여부를 검토 중이다.

6월까지 생산자단체와 협의회를 열어 꿀벌 수급상황 점검을 강화하고 수정벌 공급농가 정보를 시설원예 농가에 제공할 계획이다. 농촌진흥청은 농림축산검역본부, 지자체와 꿀벌이 사라지는 현상의 명확한 원인 규명과 피해 예방 대책을 추진할 예정이다.

박범수 농식품부 축산정책국장은 “관계기관과 협력해 피해 복구와 피해농가 지원에 적극 나서고 피해의 원인을 면밀히 분석해 재발 방지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