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데일리 김보경 기자] 상·하수도관, 전력선, 통신선, 가스관 등 지하시설물을 서울시가 통합해서 관리한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25일 시청에서 황창규 KT 회장, 김종갑 한국전력공사 사장, 채희봉 한국가스공사 사장, 곽수동 한국수자원공사 부사장, 이경실 한국지역난방공사 부사장과 지하시설물 관리 업무협약을 체결한다.
앞으로 서울시의 지하시설물은 시가 콘트롤타워가 돼 통합 관리하고, 관리 상설협의체를 구성하며 조사 비용은 각 기관이 분담하게 된다.
서울시에 따르면 서울 지하에는 상·하수도관, 전력선, 통신선, 가스관, 지하철 등 총연장 5만2697㎞의 지하시설물이 묻혀있다. 이는 지구 둘레의 1.3배에 달하는 길이다. 이 중 47%인 2만4958㎞는 서울시, 53%인 2만7739㎞는 가스, 전기, 통신, 난방 등 각 주체가 관리한다.
지하시설물의 관리 주체가 제각각이고, 각 주체가 필요할 때마다 땅을 파고 매설하고 안전관리도 각자 하면서 제대로 된 현황 파악이 어려운 경우가 많았다.
지난해 아현동 KT 통신구 화재를 비롯해 목동 열 수송관 파열, 문래동 수돗물 혼탁수 문제 등이 그 결과다.
서울시는 지하시설물의 노후, 과밀화로 인한 문제가 빈발하는 데다가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등 대규모 지하개발이 예정돼 앞으로 있을 수 있는 사고 위험을 최소화하는 위해 협약을 체결했다고 설명했다.
앞으로 공동(空同·지하의 빈 곳)조사는 서울시가 전담해 체계적으로 관리한다.
시는 기존 도심에 전력구, 통신구, 상수도관을 공동 수용할 수 있는 ‘소형 공동구’ 도입을 검토한다. 공동구는 전선, 수도관, 가스관, 전화 케이블 등을 수용하는 지하 터널을 뜻한다.
지하시설물 관리에는 첨단기술을 적용한다. 사물인터넷(IoT)과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스마트 관리체계를 구축해 관리 사각지대를 없앤다.
우선 은평 공동구에 24시간 순찰이 가능한 ‘지능형 궤도주행 로봇’을 올 연말까지 설치, 시범적으로 운영해보고 성과를 측정하기로 했다.
시는 이러한 ‘서울시 지하시설물 통합안전관리대책’에 2023년까지 2조7087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