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는 확실한 정권 교체를 위해서는 개헌을 통해 확실한 개혁 드라이브를 걸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김 전 의원은 “내란을 가장 확실하게 종식하는 방법은 사실 정권 교체다”며 “저는 개헌을 추진하면 중도층 마음까지 얻어서 확실하게 정권 교체를 할 수 있다고 생각이 든다”고 설명했다.
이어 “계엄에 참여했던 고위 장성들은 사실은 지금 구속이 돼 있지만 내란에 동조했던 국무위원도 그대로 있다. 내란이 완전하게 잔불까지 정리됐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며 “다시는 계엄을 한다든지 이렇게 할 수 없도록 만들어야 한다. 그것조차도 헌법에 담아야 하기 때문에 개헌이 가장 우선이다”고 강조했다.
제1야당 대표가 조기 대선 개헌론에 선을 그은 상황에서 그 실현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는 “앞으로 기회가 있다면 (이재명 대표에게) 꼭 촉구할 생각이다”고 밝혔다. 이어 “분권형 4년 중임제는 이번 대선 때 같이하고 나머지 총체적인 개헌안은 내년 지방선거에 하는 국민투표에서 하면 된다”며 김경수 전 지사의 ‘2단계 개헌안’에 동의하는 뜻을 내비쳤다.
김 전 의원은 전날 이뤄진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대통령 몫 헌법재판관 임명에 대해서는 “위헌적인 권한 행사를 했다고 생각한다”며 “대한민국 대통령은 국민으로부터 선출됐을 때 그 정당성과 명분이 있다. 대통령께 지명된 국무총리이고 내란 사태로 인한 직무 권한대행이 과도하게 권한을 행사하는 것은 민주공화정 원리에 안 맞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한 대행의 출마설에 대해서는 “만약에 출마한다면 민주당 입장에서는 감사할 일이다”며 “내란의 공모자인 한 대행을 후보로 공천한다면 중도층 국민이 완전히 등을 돌릴 거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대통령 집무실에 대한 질문에는 “용산에서 집무를 시작하겠지만 세종으로 이전을 추진하는 게 맞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