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세계1등 기업 오른 K바이오벤처[류성의 제약국부론]

류성 기자I 2023.08.10 11:06:01

디지털 대전환 기회포착, 삼성전자 급성장 비결
글로벌 제약바이오 산업도 대전환기 진입
수백년 주도 화학약품에서 바이오의약품 대전환
글로벌 톱티어 반열에 오른 K바이오 속속 등장
세계 미생물 EV 특허 60%확보,엠디헬스케어 대표적
글로벌 경쟁력 갖춘 K바이오가 제약강국 이끌것

[이데일리 류성 바이오플랫폼센터장] 산업의 역사는 혁신적 기술이 촉발하는 대전환기로 점철이 되어있다. 대변혁기에는 메이저와 마이너 기업이 대폭 교체되는 현상이 자주 일어난다. 대변화에 적응못한 1등 기업은 몰락하고, 이를 선제적으로 준비한 3류 기업이 정상으로 올라서곤 한다. 예컨대 삼성전자(005930)는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바뀌는 대변혁기를 누구보다 앞서 대비한 덕에 소니, 파나소닉, 샤프등 쟁쟁한 경쟁자들을 제치고 글로벌 초일류 기업으로 도약할수 있었다.

글로벌 제약산업도 예외가 아니어서 현재 대전환기에 접어들었다. 수백년간 세계 제약산업을 장악해온 화학의약품이 새롭게 급부상하는 신흥강자 바이오의약품에게 패권을 내주는 대변혁이 벌어지고 있다. 바이오의약품은 연간 10% 안팎의 고성장세로 화학의약품과의 격차를 급속히 줄여가고 있다. 글로벌 의약품 컨설팅 업체인 아이큐비아에 따르면 바이오의약품 시장은 2022년 기준 4310억 달러 규모에서 오는 2027년에는 6660억 달러까지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세계 전체 의약품 시장의 35%에 달하는 비중이다. 바이오의약품의 화학의약품 역전현상은 조만간 현실화될 것이다.

제약 중심축이 바이오로 옮겨가는 대변혁기는 지금껏 시장을 주도해온 서구 글로벌 제약사들에게는 큰 위기로 작용할수 있다. 화학의약품 위주 기존 사업구조를 바이오의약품으로 전환하는 작업을 제대로 못할 경우 메이저에서 마이너로 몰락할수 있다. 반면 서구 글로벌 제약사에 한참 뒤진 후발주자인 K바이오에게 바이오 대변혁기는 절호의 기회다. 새롭게 탄생한 바이오 분야에서는 선발과 후발주자간 격차가 미미하다. 누구든 먼저 바이오 치료제를 상용화하는 기업이 메이저로 도약할수 있다.

이미 K바이오 가운데는 글로벌하게 최고의 기술경쟁력을 확보한 바이오벤처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어 한국 바이오산업의 미래를 밝게 해준다. 세계 미생물 EV(세포외소포) 특허 60% 이상(200여건)을 확보, 미생물 EV 치료제 분야에서 글로벌하게 압도적 기술력을 갖춘 엠디헬스케어가 대표적이다. 2022년 미국화학학회는 엠디헬스케어를 미생물 EV 분야에서 세계 1위의 특허 경쟁력을 갖춘 기업으로 선정했다.

김윤근 엠디헬스케어 대표가 2023년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미생물 EV 치료제에 대해 발표를 하고 있다. 회사제공
특히 미생물 EV치료제는 오는 2027년까지 특허가 대부분 만료되는 항체 치료제를 대체할수있는 게임체인저로 손꼽히고 있어 엠디헬스케어의 잠재력은 막대하다는 평가다. 엠디헬스케어는 이미 자체 기술력으로 미생물 EV 의약품 원료 및 완제 생산라인은 물론 품질관리 시스템까지 구축, 시장선점을 위한 준비를 끝마쳤다.

엠디헬스케어는 마이크로바이옴 (유익한 장내 미생물)이 분비하는 세포외소포(EV) 치료기술을 활용 자폐증, 파킨슨병, 황반변성 등과 같은 난치성 중추신경계 질환 치료제를 세계적으로 선도하는 기업으로 평가받는다. 2014년 회사를 창업한 김윤근 대표는 서울의대 교수, 포항공대 생명과학과 교수, 이화의료원 융합의학연구원장 등을 거친 국내 대표적 의과학자 출신이다.

“미생물이 분비하는 EV는 미생물과 인간세포 사이 커뮤니케이션을 담당하는 핵심 메신저로, 유익한 미생물의 약리 작용은 모두 EV를 통해 이루어진다. 무엇보다 유익한 미생물이 분비하는 EV는 면역저하자나 노인이 복용해도 부작용이 없다.”

미생물 EV치료제는 향후 기존 치료제를 대체할 강력한 신약이 될것이라는 게 김대표의 확신이다. 특히 EV치료제는 경구 복용 생균 치료제가 위산, 담즙산 등에 의해 생균이 사멸되는 문제가 있는데 반해 경구 복용 시 대부분 우리 몸에 흡수되어 작용하는 강점을 지닌 것으로 평가된다.

엠디헬스케어는 자폐, 파킨슨병, 황반변성 등 적응증으로 비임상 개발을 이미 완료했다. 올해 하반기에 임상1상과 자폐증을 대상으로 연구자 임상을 수행할 예정이다. 아직 상용화에 성공한 치료제가 없는 이 분야에서 글로벌하게도 가장 빠른 임상속도다. 김대표는 자폐, 파킨슨병 등을 적응증으로 하는 미생물 EV치료제(MDH-014)는 2025년께 글로벌 제약사에 기술을 수출할 것으로 확신한다. 한국콜마와는 고형암, 염증성장염 등 면역질환을 적응증으로 하는 락토바실러스 EV 치료제(MDH-013)를 공동개발하고 있다.

“엠디헬스케어는 미생물 EV 치료기술에서 자타가 인정하는 세계 넘버 원 기업이다. 양자통신, 양자 컴퓨터 제품이 향후 IT 분야에서 게임체인저로 예상되듯이, 미생물 EV 기술은 바이오 의약품 분야에서 게임체인저가 될 것이다.”

압도적인 글로벌 기술력을 활용, 기존 의약품의 패러다임을 바꾸겠다는 게 김대표의 원대한 목표다. 엠디헬스케어처럼 글로벌하게 최고의 기술력을 갖추고 판을 바꿔보겠다는 야망을 갖춘 바이오벤처들은 향후 한국이 제약강국으로 도약하는 데 있어 주도적인 역할을 하게 될 전망이다. 새로운 분야에서 프론티어로 나선 이들 K바이오가 수백년 동안 서구 중심 글로벌 제약사들이 장악해온 제약패권을 깨부수는 선봉장으로 성장하길 기대해본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