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경, 신고 33분 만에 도착..52분 만에 대통령 보고
탑승객 22명 모두 구명조끼 착용했지만 7명만 생존
돌고래호 사고 때보다 대응 빨랐지만 인명 피해 커
선박 충돌 충격 심했고 수온 차가워 피해 커진 듯
| 해양경찰청 대원들이 3일 오전 6시9분께 인천 영흥도 인근 해상에서 전복된 낚싯배에 타고 있던 실종자들을 수색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
[세종=이데일리 최훈길 기자] 3일 발생한 낚싯배 사고 관련 대응·수습시간이 과거 정부 때보다 최대 2시간가량 빨라진 것으로 확인됐다. 과거 사고 때보다 해경이 현장에 빨리 도착했고 청와대와 정부의 보고·지시도 신속하게 이뤄졌다. 그러나 13명이나 숨져 정부의 후속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3일 해양수산부·해양경찰청에 따르면, 이날 오전 6시 인천시 옹진군 진두항에서 출항한 지 9분 만인 오전 6시 9분에 낚시 어선 선창1호(9.77t)의 사고 신고가 접수됐다. 선창1호는 영흥대교 밑 좁은 수로를 통과하다가 진두항 남서방 1마일 해상에서 급유선 명진 15호(336t)와 충돌, 전복됐다.
이번 사고로 선창1호에 탑승한 22명 중 13명이 숨지고 선창1호 선장 등 2명이 실종됐다. 7명은 구조돼 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다. 해경(25척)·해군(16척) 등 함정 총 52척과 항공기 8대가 동원대 실종자 수색 작업이 진행 중이다. 이날 오후 4시43분경 선체 인양을 완료하고 수색을 했지만 실종자는 선내에 없었다. 해경, 해군은 야간 수색을 진행하기로 했다.
해경은 우선 실종자 수색부터 한 뒤 구체적인 사고 원인을 확인하기로 했다. 황준현 인천해양경찰서장은 “수색이 오늘, 내일 진전되고 난 뒤 (명진 15호) 선장 신병 확보, 관계자, 생존자 조사를 해 사고 원인을 확인할 것”이라고 말했다. 탑승자 전원이 구명조끼를 착용했지만 충돌로 인한 충격이 심했고 겨울철 수온이 차가워 적지 않은 인명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사고는 2015년 9월5일 제주 추자도 앞바다에서 발생한 돌고래호 전복 사고와 비교된다. 돌고래 1호, 선창 1호 모두 9.77t 규모 선박이다. 두 사고 모두 주말에 사고가 발생했다. 돌고래호는 탑승자 21명 중 3명이, 선창 1호는 탑승자 22명 중 7명이 생존했다. 사고 유형은 비슷한 셈이다.
다만 사고 대응·수습 과정은 달랐다. 이번 사고 당시 인천해양경찰서는 신고 33분 뒤인 6시42분에 현장에 도착, 명진 15호와 함께 20명을 구조했다. 반면 돌고래호 사고 당시에는 신고 1시간 27~47분 뒤에야 사고 현장에 도착했다. 수색을 벌였지만 돌고래호를 찾지 못했다. 승선원 3명은 다음 날인 6일 오전 6시25분 어민 부부(97흥성호)에 처음으로 발견돼 구조됐다.
보고 시점도 빨라졌다. 문재인 대통령은 사고 신고 52분 뒤인 오전 7시1분에 최초 보고를 받았다. 해수부(장관 김영춘)는 신고 1시간31분 뒤인 7시40분에 중앙사고수습본부를 설치했다. 하지만 돌고래호 사고 당시 박근혜 대통령은 신고 1시간47분 뒤에 첫 보고를 받았다. 해수부 중앙사고수습본부는 신고 3시간 32분 뒤에 꾸려졌다. 중앙사고수습본부가 설치된 시간을 비교하면 이번이 과거보다 2시간1분이 빨라진 셈이다.
앞서 해경은 세월호 참사 이후인 2014년 11월 해체돼 국민안전처로 편입됐다. 이후 해경(청장 박경민)은 2년8개월 만인 지난 7월26일 해수부 산하 독립 외청으로 부활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바다에서 일어나는 재난과 재해는 처음부터 끝까지 해경이 완벽하게 책임져야 한다”고 지시했다.
| [그래픽=이데일리 문승용 기자] |
|
| 승선원 22명 중 7명만 생존했다. 2명은 실종됐고 13명이 숨졌다. 해경은 야간 수색을 통해 실종자를 찾을 계획이다. [출처=해양경찰청] |
|
| 돌고래호 사고와 비교해 해경의 현장 도착, 대통령 최초 보고, 해양수산부 중앙사고수습본부 설치 시간이 빨라졌다. [출처=청와대, 해양수산부, 해양경찰청]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