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외교부는 25일 홈페이지에 북한을 비핵화하려는 노력을 중국이 지연시키고 있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주장은 무책임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중국은 한반도 비핵화를 향한 과정에서 계속 긍정적인 역할을 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예정됐던 폼페이오 장관의 방북을 전격 취소하면서 북한의 비핵화 과정에 중국이 비협조적이라 밝힌 데 정면반박한 것이다. 하지만 미국이 중국의 행보에 본격적으로 ‘딴지’를 건 이상 다음달로 예정됐던 시 주석의 방북 시나리오는 사실상 어렵다는 해석이 힘을 얻는다.
싱가포르 매체 스트레이츠타임스와 일본 NHK 등은 시 주석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초청으로 북한 정권 수립일인 9·9절 행사에 참석한다고 보도한 바 있다. 중국의 파견단 역시 평양을 방문해 관련 협상을 진행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시 주석의 방북은 북한과 중국이 미국을 압박할 수 있는 최적의 카드란 분석이 많았다. 중국으로선 13년 만에 최고 지도자가 북한을 방문하는 만큼 북·중 관계가 과거 수준으로 완전히 복원됐다는 것을 확인하는 자리가 될 전망이었다.
|
게다가 방북을 강행하면 향후 북한 비핵화 문제가 잘 풀리지 않으면 책임에서 벗어나기 어렵고 경우에 따라서는 비핵화 협상을 훼방했다는 비판까지 받을 수 있다. 한 외교소식통은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에 계속 불편한 심기를 드러내며 북·중 관계를 견제해 왔다”며 “이번엔 미·중 무역갈등까지 직접 언급한 만큼, 중국으로선 미국의 경고를 아예 모르쇠로 일관하진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6월 12일 개최된 싱가포르 북미정상회담 뒤 진행됐던 비핵화 실무진 협상이 기대만큼의 성과를 거두지 못한 것을 두고도 ‘중국 배후론’을 제기한 바 있다.
이전에도 트럼프 대통령은 5월 김정은 국방위원장이 돌연 미국에 강경 태도로 돌변했을 때에도 ‘중국 배후론’을 이유로 6·12 정상회담을 연기하자고 말할 정도로 중국에 대한 의심의 눈초리를 계속 유지하고 있다.
현재 중국은 폼페이오 장관의 4차 방북 취소라는 카드에 당황하면서 상황 변화를 예의주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중국과의 무역관계가 해결된 이후 북한에 갈 것이라는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에 주목하고 있다. 소식통은 “시 주석이 방북을 강행하기 보다 시기를 조율할 가능성이 크다”며 “9월 대신 10월이나 그 이후를 선택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게다가 시 주석이 방북을 연기한 후, 무역전쟁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시 주석으로선 김 위원장의 세 차례 방중에 따른 ‘답방’임에도 불구하고 미국 때문에 이를 취소했다는 명분을 챙길 수도 있다. 다른 소식통은 “9월 방북을 완전히 취소했다고 보긴 힘들지만 상황이 변해버린 이상 중국이 자신들의 이익을 가장 극대화할 수 있는 시기를 찾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