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반·저장 30개 요소기술 개발 위해 1463억원 투입
[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정부가 고준위 방사성폐기물(방폐물) 처리기술 개발을 위한 각계 전문가 의견수렴에 속도를 내기 시작했다. 이번 기회에 40여년 동안 해결하지 못한 고준위 방폐물 영구저장시설을 마련할 수 있을지 관심을 끈다.
| 개시 후 37년에 걸친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관리 기본계획 시나리오. (사진=산업통상자원부) |
|
산업통상자원부는 한국원자력환경공단과 함께 4일 오후 부산 아스티호텔에서 고준위 방폐물 운반 및 저장 분야 연구개발(R&D) 기술 로드맵 토론회를 열고 각계 전문가 의견을 수렴한다.
정부는 지난 2016년과 2021년에 두 차례에 걸쳐 37년에 걸쳐 고준위 방폐물 영구처분시설을 확보한다는 내용의 고준위 방폐물 관리 기본계획을 마련했다. 또 주무부처인 산업부는 지난 7월20일 이 계획에 필요한 기술을 개발하는 고준위 방폐물 R&D 로드맵 안을 만들고 연내 이를 확정키로 했다. 현재 안은 내년 중 관련 절차에 착수해 2060년까지 고준위 방폐물 영구처분시설 운영을 시작한다는 목표로 설정됐다. 계획대로면 2036년까지 중간·영구처분시설 부지를 확정하고 이곳에 대한 검증과 설계, 건설 절차를 밟게 된다. 당장 내년 중 구체적 계획을 수립하고 부적합지역을 우선 배제하고 3년 내 부지 공모와 주민의견 확인 절차를 거쳐 9년에 걸친 부지적합성 조사 절차에 들어가게 된다.
산업부는 R&D 기술 로드맵 안 연내 확정을 위해 전문가 의견수렴 절차를 진행 중이다. 지난 7월28일엔 대전에서 부지선정 및 처분 분야 토론회를 열었고, 이날 행사에선 운반·저장 시스템 설계와 용기 개발 분야의 전문가 의견을 수렴했다. 더 많은 사람과 이 계획을 공유하고 의견을 듣고자 원자력환경공단 유튜브 계정을 통해 토론회를 생중계한다. 로드맵 안은 운반 분야 10개, 저장 분야 20개 요소 기술에 대한 연구개발을 통해 고준위 방폐물 관리 기본계획에 필요한 시점까지 독자 기술을 확보한다는 목표를 세워두고 있다. 산업부는 이를 위해 운반 분야 R&D에 223억원, 저장 분야에 1240억원을 투입한다는 계획이다.
| 한국원자력환경공단과 사용후핵연료관리핵심기술개발사업단이 지난 7월28일 대전 국제원자력교육훈련센터에서 진행한 고준위 방폐물 안전 관리를 위한 부지평가 및 안전처분 분야 토론회 모습. (사진=원자력환경공단) |
|
이날 토론회에는 이병식 단국대 에너지공학과와 운형준 한국전력기술 사후관리사업그룹 부장 등 로드맵 전문가 검토 그룹과 김준곤 한국수력원자력 원전사후관리처 부장, 최우석 한국원자력연구원 방폐물운반저장연구실 박사, 이연호 세아베스틸 원자력사업팀장, 이복형 원자력기술안전원 방사선규제단장, 이성기 한국전력원자력연료 사용후핵연료부장 등 전문가가 참여한다.
윤석열 정부는 지난 5일 2030년 국내 원자력발전 비중 목표를 기존 23.9%에서 30% 이상으로 끌어올린다는 새정부 에너지정책 방향을 확정했다. 그러나 이를 위해선 40년 남짓 해결 못한 고준위 방폐물 처리 문제 해결이 필수다. 국내엔 이미 원전 26기에서 나온 50만여 다발의 사용후 핵연료(고준위 방폐물)가 있다. 현재는 각 본부에 임시 저장 중이지만 2031년 고리·한빛 원전본부를 시작으로 포화 예정이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핀란드는 고준위 방폐물 영구저장시설을 짓고 있으며, 스웨덴·프랑스도 부지까지는 확보한 상태다.
서기웅 산업부 장관정책보좌관은 “고준위 방폐물의 안전한 반출을 위한 운반 기술과 저장시설 확보와 안전성 평가를 위한 저장 기술은 고준위 방폐물 관리의 핵심”이라며 “과학적 합리성과 기술적 타당성을 기반으로 고준위 방폐물 관리를 추진해 국민적 신뢰를 높이겠다”고 말했다.
| 박일준 산업통상자원부 제2차관(가운데)이 8월1일 경북 경주 한국수력원자력 월성 원자력본부 내 고준위 방사성폐기물(방폐물) 건식저장시설(맥스터)을 둘러보고 있다. (사진= 산업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