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는 중위소득 50% 이하 가구를 대상으로 2022년 7월부터 2025년 6월까지 진행 중인 ‘안심소득 시범사업(1단계)’에 참여한 1523가구(지원가구 484가구, 비교가구 1039가구)에 대한 1차 성과평가를 통해 효과가 입증됐다고 설명했다. 구체적으로 △현행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대비 복지사각지대 해소 및 높은 탈수급 비율 △지원가구 근로소득 증가 확인 △비교 가구 대비 교통비·식품·의료 서비스 등 소비 증가 △정신건강 및 영양 개선 등의 효과가 확인됐다. 이에 올해 심층 검토 및 연구로 전국 확산의 정책 토대를 닦을 방침이다.
서울시는 현재 안심소득 시범사업이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생계급여 등 6종의 현금성 급여만 고려·설계돼, 전국으로 확산되기 위해선 근로장려금·아동수당 등 현행 제도와의 관계 등 검토가 필요하다는 판단이다. 이에 ‘TF(특별반)’ 및 주요 사회복지학회 등과 연계한 포럼·토론회 등 다각적 방법을 통해 제도를 들여다보고 개편안을 제시할 계획이다. 예컨대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는 당장 소득이 끊겨도 빠르게 처분하기 곤란한 자산, 입증 어려운 근로 무능력 등을 사유로 사각지대가 발생할 수 있다. 또 만 65세 이상 70%가 받는 ‘기초연금’도 고령화에 따른 재정 부담 등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라, 안심소득을 통해 현행 제도 한계를 뛰어넘는 대안을 마련한다는 것이다.
|
TF는 이날 첫 회의를 시작으로 ‘현행 사회보장제도와 안심소득이 나아갈 방향’을 정립하기 위해 다음달부터 6주간 약 10차례 전체 또는 분과별 회의를 연다. 이후엔 논의된 내용을 바탕으로 현행 제도의 문제점과 개선과제를 연구, 안심소득 확산을 위한 법·제도적 과제를 연내 최종 도출할 계획이다.
TF는 회의를 총괄하는 기획위를 비롯해 △공공부조 △사회보험 △사회서비스 등 3개 분과로 구성된다. 이들 분과는 현행 사회보장제도의 문제점을 짚어본 뒤에 안심소득으로 대체 또는 보완 가능한 제도를 분석, 실질적 뒷받침이 될 수 있는 구체적 실행계획과 개편안을 이끌어 낼 전망이다.
오세훈 시장은 이날 회의에 참석해 “오늘 TF 출범으로 안심소득 사업에 또 하나의 획을 긋게 됐다”며 “앞으로 안심소득 정합성 연구 TF를 통해 기존 사회보장제도에 대한 한계와 사각지대를 꼼꼼히 고민, 연구해 안심소득이 대한민국 복지 표준을 제시하고 전국에 안정적으로 확대될 수 있도록 준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