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 실장은 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인근 덜레스 국제공항을 통해 입국한 직후 기자들과 만나 “한반도 및 동북아, 글로벌 안보 이슈를 논의하고 경제 안보와 관련해 특히 조선 협력을 비롯해 다양한 논의를 하려 한다”고 방미 목적을 소개했다. 그러면서 “조금 늦기는 했지만 백악관과 우리 대통령실 사이에 본격적인 소통을 시작했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며 “(한·미 간엔) 각 정부 부처의 모든 협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범정부적 노력을 결집할 도구를 만들고, 그 과정에서 양국이 머리를 맞대 윈윈할 수 있도록 논의를 발전시켜 나갈 생각”이라고 했다.
1월 트럼프 행정부 출범 후 한국 장관급 인사가 미국을 찾은 건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에 이어 두 번째, 대통령실 인사론 신 실장이 처음이다. 신 실장은 이번 방미 길에 카운터파트인 마이크 왈츠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을 비롯해 트럼프 행정부 고위 인사들과 만날 계획이다.
전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이 미국보다 네 배 높은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고 언급한 것에 신 실장은 “구체적으로 트럼프 대통령 말씀에 말씀드리는 게 적절치 않다”면서도 “사실 양국 간 관세가 거의 없는 것이어서 이 부분은 또 논의해야 할 거 같다”고 했다. 이어 “그것(관세 문제)은 우리 통상관계 부처가 미국의 상무부나 무역대표부(USTR) 등과 긴밀히 협의가 되고 있어서 좋은 결말이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의회 연설에서 “한국의 평균 관세는 (미국보다) 네 배 높다“며 ”우리는 한국을 군사적으로 그리고 아주 많은 다른 방식으로 아주 많이 도와주는데도 이런 일이 일어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를 두고 다음 달 상호관세(다른 나라가 미국산 제품에 부과하는 무역장벽만큼 관세를 부과하는 것) 도입을 앞두고 한국에도 부과할 뜻을 시사한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신 실장은 관세를 지렛대로 한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금 증액 압박 가능성엔 “그런 얘기는 아직 논의된 바 없다”며 “그 문제도 오랜 동맹 정신에 입각해 원만하게 잘 풀어나갈 것“이라고 했다. 한국을 배제한 북·미 간 직접 대화 가능성에 대해서도 그는 “대북 문제도 다 논의가 될 것”이라며 “대북 정책 또는 대북 접촉도 한·미가 충분하고 긴밀한 공조 위에서 한다는 게 트럼프 2기 정부의 변함없는 얘기”라고 일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