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美에 대화 조건 제시? 北 김여정 "비핵화, 가장 적대적 행위"(종합)

김인경 기자I 2025.04.09 09:04:52

김여정, 한미일외교장관 공동성명에 반발 담화문 발표
북 핵무장에 “무제한의 당위성과 명분만 깔아줘” 주장
2월 외무성 대변인 담화 이후 김여정 전면 등판
"트럼프 대화 가능성 속 ''핵보유국 인정'' 문턱 상기"

[이데일리 김인경 기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동생인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이 한미일 외교장관의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의지를 표명한 데 대해 ‘가장 적대적인 행위’라고 반발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대화 가능성을 언급한 가운데, 김여정 부부장이 직접 나와 대화 전제조건을 제시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조선중앙TV 캡처]
9일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김 부부장은 전날 ‘미한일의 시대착오적인 비핵화 집념은 우리 국가의 그 어떤 영향도 미칠 수 없다’는 제목으로 담화를 발표했다.

김 부부장은 지난 3일 벨기에 브뤼셀에서 개최된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 외교장관회의를 계기로 한미일 외교장관이 만나서 발표한 공동성명에 담긴 북한 비핵화 의지에 대해 문제 삼았다. 그는 “실현불가능한 망상에 불과하다”며 “아직까지도 실패한 과거의 꿈속에서 헤매이며 ‘완전한 비핵화’를 입에 달고 다니는 것은 자기들의 정치적 판별수준이 어느 정도로 구시대적이고 몰상식한가를 스스로 세상에 드러내 보이는 것”이라고 비난했다.

이어 “진짜 그것을 믿고 ‘비핵화’를 열창하는 것이라면 뭐가 모자라다는 말밖에 듣지 못할 것”이라고 조롱했다.

김 부부장은 북한의 ‘핵보유국 지위’가 “외부의 적대적 위협과 현재와 미래의 세계안보역학구도의 변천을 정확히 반영한 필연적 선택의 결과”라며 “누가 부정한다고 하여 달라지는 것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또 “우리의 면전에서 핵포기를 공공연히 떠드는 것은 물론 이러저러한 보자기를 씌워 이미 사문화된 ‘비핵화’ 개념을 부활시켜보려고 시도하는 것 그 자체도 곧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주권을 부정하고 헌법포기, 제도포기를 강요하는 가장 적대적인 행위”라고 지적했다.

김 부부장은 “미국과 그 추종세력들이 그 누구의 ‘위협’을 떠들어대며 시대착오적인 ‘비핵화’에 계속 집념한다면 최강의 자위적 핵력량 구축을 지향하는 우리의 전진도상에 무제한의 당위성과 명분만을 깔아주게 될 뿐”이라고 위협했다.

북한은 앞서 지난 2월 독일 뮌헨에서 열린 한미일 외교장관회담 후에도 ‘북한 비핵화’에 대해 반발하며 외무성 대변인 명의의 담화를 발표한 바 있다. 전문가들은 기존 담화와 큰 차이는 없지만, 김 위원장의 동생인 김여정 부부장이 전면으로 나서면서 자신들의 입장을 재차 강조한 점을 눈여겨 봐야 한다고 조언했다.

홍민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북한은 한미일 외교장관 공동성명의 여러 문제 제기 중 비핵화 부분에만 반응했는데 그만큼, 북한에 있어 민감하고 적극대응이 필요한 의제라는 걸 뜻한다”며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북미 대화를 시사하는 등 대(對) 북한 접근 가능성을 의식해 트럼프 행정부에 확실한 북한 입장을 전달하겠다는 의도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번 담화 역시 북미 접촉 전 ‘비핵화 불가’ 및 핵보유국 인정이라는 문턱을 확실하게 상기시키려는 의도가 보인다”고 분석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31일 백악관에서 김 위원장과 관련해 “우리는 어느 시점에 무엇인가를 할 것이다”라며 “소통하고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김 부부장의 등장은 단순히 비핵화에 대한 북한의 기존 입장을 전달하는 차원을 넘어, 대미 관계, 나아가 트럼프 대통령에서 중요한 정치적 신호를 보낸 것으로 해석된다”며 “북한을 사실상의 핵보유국으로 인정하지 않은 한 협상재개가 쉽지 않을 것임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2019년 6월 30일 당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 군사분계선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만나고 있다. [뉴시스 제공]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