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9년 만에 적자 전환한 저축은행…“충격 흡수 능력 충분”

최정훈 기자I 2024.03.22 10:12:46

작년 저축은행 순손실 5559억원…9년 만에 적자 전환
부실채권 2배 상승…“대손충당금 적립 등 충격 흡수 능력 충분”

[이데일리 최정훈 기자] 저축은행업권이 9년 만에 적자를 기록했다. 업권의 건전성을 측정하는 지표인 대출 연체율과 부실대출을 뜻하는 고정이하여신(NPL)비율도 1년 새 2배 가까이 상승했다. 다만 저축은행업계는 대손충당금을 충분히 쌓아 둬 손실에 따른 충격은 적다고 전했다.

오화경 저축은행중앙회 회장 및 임원들이 지난 21일 2023년도 영업실적 설명회에 참석했다.(사진=저축은행중앙회 제공)
22일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지난해 79개 저축은행의 총 순손실은 5559억원으로 집계됐다. 2015년 이후 8년 동안 저축은행업권은 흑자 실적을 유지했으나 9년 만에 적자로 전환됐다. 작년 적자 전환의 가장 큰 요인은 이자비용 증가였다.

지난해 말 기준 이자비용은 5조3508억원을 기록해 전년 말(2조9177억원) 대비 2조4331억원 증가했다. 반면, 같은 기간 이자로 벌어들이는 수익은 9조6581억원에서 10조7501억원으로 1조920억원 증가에 그쳤다,

건전성 지표인 연체율과 고정이하여신비율도 지난해 2배 가까이 상승했다. 지난해 말 저축은행업권 연체율은 6.55%를 기록해 1년 전(3.41%)보다 3.14%포인트 증가했다. 같은 기간 고정이하여신비율은 3.64%포인트 상승해 지난해 말 7.72%를 기록했다.

특히 기업대출의 연체율 증가가 눈에 띄었다. 기업대출의 연체율은 1년 새 2.90%에서 8.02%로 5.12%포인트 증가했다. 저축은행의 주거래 대상인 중·소상공인 차주(돈 빌리는 사람)의 상환 능력이 경기 침체에 직격탄을 맞은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보수적으로 대출을 취급하면서 총여신 규모가 감소한 것도 연체율을 올리는 요인이다.

다만 저축은행들의 경영안전성은 상대적으로 견조한 수치를 보였다. 뱅크런(대규모 예금인출 사태)에 대비할 수 있는 규모를 측정하는 유동성 비율도 법정기준(100%) 보다 높은 192.07%를 기록했다. 적자 손실을 메꾸는 대손충당금 적립률도 113.89%를 기록했다. 79개 모든 저축은행이 법정 기준(100%)을 넘겨 대손충당금을 쌓았다.

저축은행업계는 건전성이 나빠졌지만 아직 위험한 수준은 아니라고 평가했다. 오화경 저축은행중앙회 회장은 “업황이 좋지 않았던 2011년이나 2014년과 비교하면 연체율이 높지 않다”면서 “가계대출은 상대적으로 연체율이 많이 올라가지 않았다”고 했다. 이어 “적자가 나고 연체율이 올라갔지만 대손충당금과 자기자본 등을 보면 이 정도 충격에 대한 흡수능력은 있다”고 전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