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행정명령에는 모든 연방정부와 기관에 석탄 산업에 대한 차별적 정책을 중단하고, 새로운 석탄 프로젝트에 대한 허가와 자금 지원을 늘리는 내용이 담겼다. 전임 조 바이든 행정부의 규제로 폐쇄 예정이었던 일부 노후 석탄화력발전소의 가동을 허용하는 내용도 포함됐다. 에너지부 등 관계 부처에는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의 전력 공급을 위해 석탄화력발전소 추가 가동 방안을 연구하라고 명령했다.
또 민주당이 장악한 일부 주를 상대로 석탄 채굴과 발전을 차별하는 정책이 위법한지 조사할 것을 법무부에 지시하는 내용도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서명식에서 “아름답고 깨끗한 석탄을 포함한 저렴한 에너지 활용을 계속할 것”이라며 “우리나라는 지구에서 가장 풍부한 천연자원을 보유한 축복받은 나라이며 우리는 이 자원을 매우 책임감 있게 활용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이번 조치가 미국 석탄 산업의 부흥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낮다는 평가가 나온다.
워싱턴포스트(WP)는 “미국 내 천연가스 생산량 증가와 신재생에너지 기술 발전으로 인해 석탄 산업이 이미 심각한 타격을 입었다”고 짚었다.
세계 각국이 추진하는 탈탄소화 추세에 역행한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화석 연료는 저렴하지만 많은 양의 이산화탄소 탄소를 배출, 세계 각국과 기업은 사용량을 줄여나가고 있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각국 정부가 발표한 석탄 감축 공약이 이행될 경우 석탄 수요는 약 50년 동안 약 70%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에서는 석탄의 탄소 배출량의 약 절반을 차지하는 가스화력발전이 전력 구성의 40%를 차지하고 있으며, 태양광과 풍력 등 재생 에너지 도입 비중이 20%로 늘어났다. 반면 석탄 화력발전소 비중은 20% 미만이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경제대국인 미국이 석탄 사용량을 늘리는 방침을 내세우면 값싼 석탄을 에너지 원으로 요구하는 신흥국의 반발도 불러올 수 있어 탈탄소 흐름이 전 세계적으로 후퇴할 우려가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