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는 소비자들의 손실까지 포함하면 약 30조 달러(약 4경4000조원)에 이르는 피해가 예상된다고 추산했다. 그는 “이번 경제적 손실은 마치 국제유가가 두 배로 뛴 것과 같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지난 2일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 이후 뉴욕증시는 급락했다. 지난 3~4일 이틀간 대형주 벤치마크 역할을 하는 스탠더드앤드푸어스500(S&P 500) 지수는 10.5%,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은 11.4% 하락했다. 증발한 시가총액만 5조 4000억 달러(약 7900조원)에 달한다.
서머스 전 장관은 관세를 통해 세수를 확보하고 다른 국가들과의 협상 우위를 점할 수 있다는 주장에 대해 “모순이 있다”고 반박했다. 그는 “이 정책이 협상을 위한 지렛대여서 상대국이 무역장벽을 철회하고 우리도 관세를 철회하는 방식으로 타결된다면 결국 추가 세수도 발생하지 않고 기업들도 미국으로 돌아오지 않고, 혹은 기업들이 미국으로 복귀하도록 유도하려는 목적이라면 이 관세는 영구적으로 유지돼야 한다”면서 “즉 트럼프 대통령은 양쪽을 동시에 가질 수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어느 쪽을 선택할지 아직 알 수 없지만 어느 쪽이든 간에 대통령이 약속한 효과는 얻을 수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최근 뉴욕증시 급락과 같은 방식으로 향후 시장에 더 많은 혼란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서머스 전 장관에 따르면 지난 이틀간 주가 급락은 2거래일 기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1987년 ‘블랙 먼데이’, 2008년 금융위기, 코로나19 팬데믹에 이어 네 번째로 큰 움직임이었다. 그는 “이 정도 규모의 하락은 앞으로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높음을 알리는 것”이라면서 “사람들은 매우 조심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서머스 전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현 관세 정책의 문제점과 부작용 가능성을 깨닫지 않는 한 사태는 더욱 어려워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소비자들이 큰 소비 결정을 미루고 기업들이 신중해지며 투자자들이 현금 확보에 나서는 것은 모두 당연한 반응”이라면서 “우리가 지금 가장 필요로 하는 것은 이 정책의 전면적인 전환으로, 전환이 없다면 우리는 진짜 심각한 문제를 겪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의 참모들이 자신의 신념과 원칙을 지킬 수 있는지 시험받고 있다고 짚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경제학 이론에 입각한 것이 아니라 ‘오랜 집착’에 따른 것이라면서 “생물학에서의 창조론, 혹은 의학에서의 백신 반대론과 같다”고 말했다. 그는 “문제는 참모들이 이 사실을 대통령에게 솔직하게 말하거나 만약 대통령이 태도를 바꾸지 않는다면 그 정책에서 손을 뗄 용기가 있는지 여부”라고 덧붙였다.
하버스대 총장 등을 지낸 서미스 전 장관은 저명한 경제학자로, 클린턴 정부에서 재무장관을, 오바마 정부에서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을 역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