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 부총리는 이날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고 모두발언을 통해 이같이 말했다.
최 부총리는 “글로벌 산업·기술경쟁 심화, 내수회복 지연 등구조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우리 경제에 ‘관세폭풍’이라는 또 다른 먹구름이 드리워지고 있다”면서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 조치와 중국, 유럽연합(EU) 등의 보복관세 예고 등을 언급했다.
이어 “기업의 수출과 생산이 위축되면서 우리 경제의 어려움이 가중될 우려가 커졌다”면서 “정부는 전례없는 통상위기를 맞아 비상상황에 맞는 과감한 지원들을 신속하게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최 부총리는 이날 회의에서 미국 관세대응을 위한 수출바우처를 기존 2400억원에서 1000억원 이상 증액하고 중소기업 대상 긴급경영안정자금을 확대하는 등의 ‘통상환경 변화 대응을 위한 향후 정책방향’을 발표했다.
관세피해가 우려되는 자동차 산업 지원을 위한 긴급 대책으로 특별 정책금융 2조원 추가 공급, 1조원 규모의 상생 지원 프로그램 가동 등도 내놨다.
아울러 호황을 다시 맞은 조선업을 위해 중형조선사에 대한 선수금 환급보증(RG) 발급확대 지원책도 제시했다.
최 부총리는 “통상환경 대응과 산업경쟁력 강화 지원을 포함한 10조원 규모의 필수 추경안을 곧 발표하겠다”며 “이번 추경은 그 어느때보다 타이밍이 중요하므로 국회의 조속한 논의와 처리를 다시 한번 부탁드린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