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옛 장항제련소 브라운필드, 국제적 생태환경거점 꿈꾼다

박진환 기자I 2021.04.09 10:23:42

충남도, 장항 오염 정화 토지 활용 연구용역 1차 중간보고회
생태복원형 국립공원 목표…道, 내년 대선공약에 반영 계획

충남 서천의 옛 장항제련소 굴뚝.
사진=충남도 제공


[서천=이데일리 박진환 기자] 충남 서천의 옛 장항제련소 일원 브라운필드를 국제적 생태환경 거점으로 만들기 위한 밑그림이 나왔다. 이 사업이 완성되면 일제강점기 수탈과 근대 산업화에 따른 환경오염, 산업시설 가동 중단으로 인한 구도심 쇠퇴 등의 아픔을 딛고, 대한민국 최초 생태복원형 국립공원이자 한국형 뉴딜정책 추진 상징 공간으로 탈바꿈할 것으로 기대된다.

충남 서천의 장항항 전경.
사진=충남도 제공


충남도는 7일 서천군청사에서 장항 오염 정화 토지 활용 방안 기본구상 연구용역 1차 중간보고회를 개최했다. 장항은 1900년도 초반 일제가 충청도 지역 미곡과 자원 반출을 목적으로 바다를 메워 조성했다. 이후 1931년 장항선 개통, 1936년 장항제련소 준공, 1938년 장항항 개항 등 수탈을 위한 각종 시설을 설치했다.

이 중 장항제련소는 원산 및 흥남제련소와 함께 일제강점기 국내 3대 제련소 중 하나로 210m 규모의 제련소 굴뚝은 당시 아시아 최대 높이이자 우리나라 근대 산업의 상징물이다. 장항항은 1964년 국제항으로 승격되고, 이후에도 제련소 관련 물동량을 유지했지만 1989년 장항제련소 운영 중단에 이은 1990년 금강하굿둑 건설로 내리막길을 걷게 된다.

장항항과 장항선 등의 기반시설을 바탕으로 서천군 인구는 1966년 16만 1000명에 달했지만 현재는 69%가 감소한 5만 1000여명에 불과하다. 특히 장항제련소가 50년 동안 내뿜은 대기오염물질은 주변 토양을 중금속으로 오염시키며, 주민들의 건강을 위협했다. 이에 충남도는 2007년 중앙정부 차원의 대책을 건의했고, 토양 정밀조사 등을 거쳐 2009년 관계 부처 합동 종합대책을 이끌어냈다. 종합대책을 토대로 환경부와 충남도, 서천군은 총사업비 970억원을 투입해 중금속 오염 토지 110만 4000㎡를 매입했다. 2013년부터 지난해까지는 환경부가 1941억원을 들여 오염 토양 정화 사업을 추진했다. 정화 사업을 마친 토양은 이후 도시개발방식의 토지 활용이 모색됐지만 경제성 부족으로 추진이 중단된다.

충남도는 이 같은 상황을 감안, 2019년 국제환경테마특구 구상을 마련하고, 지난해 10월 한국판 뉴딜 시도지사 전략회의 때 이에 대한 추진을 대통령에 건의했다.

이번 연구용역은 서천 브라운필드에 대한 국제환경테마특구 조성 추진을 뒷받침하고, 구체적인 토지 활용 방안 마련을 위해 지난해 8월부터 진행 중이다. 이날 중간보고회에서 연구용역을 수행 중인 국토연구원은 ‘탄소중립 및 기후위기 시대 대응 장항 브라운필드 국제환경테마특구’를 비전으로 내놨다. 목표는 △대한민국 최초 생태복원형 국립공원 도시 조성 △한국판 뉴딜정책의 지역 실현 △브라운필드 재이용을 통한 지역발전 원동력 마련 등을 제시했다. 구체적인 사업으로는 △장항 인공생태습지 조성 △멸종위기종 첨단 연구 및 관리센터 건립 △국립공원 관련 법률 제·개정 추진 △국제 협력 네트워크 구축 △스마트 생태·역사 탐방로 조성 및 운영 △주요 관광거점 연결 친환경 교통수단 마련 △장항 치유의 역사관 건립 △생태관광 온·오프라인 홍보 체계 마련 등을 도출했다.

이우성 충남도 문화체육부지사는 “서천 브라운필드는 일제강점기 수탈과 국가산업 전초기지 역할 수행 후유증으로 토양 오염 등의 아픔을 가진 곳”이라며 “충남도는 이 지역이 아픈 역사에서 벗어나 지역 성장동력의 상징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최적의 활용 방안을 찾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충남도는 오는 6월 2차 중간보고회와 8월 최종보고회를 거쳐 기본계획 수립을 완료하고, 내년 대선 공약에 반영시킬 계획이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