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어 무장 계엄군이 국회로 몰려오고 헬기와 도심 공도 장갑차가 이동하는 등 긴장 상황이 이어졌다. SNS(소셜미디어)상에서는 ‘계엄선포’ ‘헬기 소리’ 등 단어가 여러 차례 언급됐다.
하지만 상당수 시민들은 재난 문자가 아닌 뉴스를 통해 소식을 전해들을 수 있었다. 행안부가 계엄령과 관련한 주무부처로서 대응하느라 긴급재난문자를 보내지 않았기 때문.
재난 문자방송 기준 및 운영 규정 상 행안부는 △기상특보 관련 자연 재난 상황정보 △대규모 사회재난 상황정보 △국가비상사태 관련 상황정보 △훈련을 포함한 민방공 경보 등의 상황에서 기간통신사업자와 방송사업자에게 재난 문자방송의 송출을 요청한다.
뿐만 아니라 행안부는 비상 계엄 선포 국회 본회의에서 비상 계엄 해제 결의안이 가결된 상황도 긴급재난문자로 알리지 않았다.
이에 평소 잦은 발송으로 원성을 사기도 했던 긴급재난문자가 결국 실제 시급한 상황에는 발송되지 않았다는 지적이다.
온라인커뮤니티와 SNS 등에서는 “재난문자가 없길래...티비 안보는 사람은 몰랐을 듯” “이보다 더 불안한 상황이 어딨다고 재난문자 하나 안 오네” “정작 중요한 때는 안 보내고 자정에 풍선 날아올 때는 삑삑 울려대더니” 등의 반응을 보였다.
한편 국회는 4일 새벽 1시 본회의를 열고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을 상정해 통과시켰다. 계엄 해제 요구안은 재석 의원 190명 전원 찬성으로 가결됐다. 비상계엄이 선포된 지 2시간 37분여 만에 무력화된 것이다.
결국 윤 대통령은 4일 오전 4시 30분경 긴급 담화를 통해 “국가의 본질적 기능을 마비시키고 자유민주주의 헌정 질서를 붕괴시키려는 반국가 세력에 맞서 결연한 구국의 의지로 비상계엄을 선포했지만, 국회의 요구를 수용해 계엄을 해제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