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말라리아·일본뇌염 막는다…서울시, 11월까지 모기 감시

박태진 기자I 2025.04.09 08:59:51

기간 2주 연장·채집 횟수 늘려 감시 강화
매개모기 채집시 시·보건소 공유해 확산 방지
제대 군인·이상 적혈구 검출 시민 무료 검사

[이데일리 박태진 기자]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은 3월 31일부터 11월 28일까지 서울시 전역에서 모기 감시사업을 시행한다고 9일 밝혔다.

서울보건환경연구원 관계자들이 숲모기 채집기를 설치하고 있는 모습. (사진=서울시)
올해는 감시 기간을 2주 연장하고 숲모기 채집 횟수를 늘려 더욱 철저한 조사를 수행할 예정이다.

지난해 서울에서 2010년 이후 처음으로 일본뇌염을 매개하는 작은빨간집모기가 채집됐으며, 채집된 흰줄숲모기에서 최초로 일본뇌염바이러스가 검출되는 등 감염병 매개모기의 이상 출현이 감지됐다.

이에 연구원은 말라리아와 뎅기열을 비롯해 국내외에서 유행하는 감염병의 병원체를 분석하고, 이를 유관기관과 신속히 공유해 감염병 발생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계획이다.

특히 연구원은 채집된 모기를 종별로 분류한 후 감염병을 전파할 가능성이 있는 모기종을 대상으로 유전자 검사를 실시해 병원체 보유 여부를 판정한다. 주요 감시 대상 매개감염병은 국내에서 유행하는 말라리아, 일본뇌염과 해외에서 유행 중인 뎅기열, 치쿤구니야, 지카바이러스 등이다.

매개모기가 채집되거나 병원체가 검출될 경우 즉시 시·보건소와 공유해 감염병 확산을 방지하고, 모기 방제와 환자 발생 예방에 주력할 방침이다.

시는 아울러 말라리아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제대군인과 이상 적혈구가 검출된 시민을 대상으로 말라리아 무료 검사를 실시하고, 환자 주거지 주변의 매개모기를 조사할 방침이다.

국내 말라리아 환자 증가로 서울시도 지난해 말라리아 위험지역으로 지정됐다. 특히 지난해 7월에는 군집사례가 발생해 두 차례 말라리아 경보가 발령된 바 있다.

모기 분석 결과는 시민 누구나 확인할 수 있도록 매월 ‘서울시 모기예보제’와 ‘열린데이터광장’에 게시한다. 올해부터는 연구원 누리집에서도 정보를 볼 수 있다.

박주성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장은 “모기 매개 감염병 예방에 최선을 다하겠다”면서 “시민들도 봄철에는 집 주변 정비, 방충망 점검, 야외활동 시 긴팔 착용 및 기피제 사용으로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해달라”고 당부했다.

배너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