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차장은 이번 회의에서 신뢰할 수 있는 확장 억제 시스템을 구축하겠다는 약속을 성실하게 이행하겠다는 미국 정부의 의지를 느꼈다고 했다.
그러면서 “핵 기반의 한미동맹은 군사적인 의미 뿐만이 아니라 우리 자유민주주의, 그리고 시장자본주의를 확고하게 수호하는 방패 역할을 할 것으로 믿는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한미동맹은 북한의 핵 미사일과 같은 군사 위협은 물론 우리 사회의 균열을 일으키는 각종 선전, 선동에도 “확고하고 엄정하게 대처할 것”이라고 했다.
김 차장은 12월 중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상기하며 “이는 탄도미사일에 핵을 실을 수 있는 잠재성을 지닌 것이기 때문에 분명히 우리 NCG가 신경써야 할 대목”이라고 했다.
이어 “만일 북한의 이런 도발이 이어진다면 한미간에 필요한 조치, 그리고 한국과 미국이 각자 할 수 있는 필요한 조치, 그리고 지금 한미일이 공동으로 할 수 있는 조치를 함께 마련해 나가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김 차장은 내년 여름 NCG 제도화를 완료할 계획이라며 같은 해 11월 미국 대선 이후 NCG의 의미가 퇴색될 수도 있다는 우려를 부인했다. 미국 대선 레이스가 시작되기 전 제도화를 마치면 정권이 바뀌더라도 NCG는 그대로 기능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김 차장은 “지금까지 두 번의 NCG를 회의를 했는데 첫번째 지난 7월 회의는 기획, 플래닝(planning)이었고 이번에는 집행”이라며 “앞으로 6개월 뒤의 (제3차) NCG 회의는 그것을 확정·완료하는 단계”라고 부연했다.
아울러 한미 NCG의 일본 합류 가능성에 대해서는 “NCG는 계속 양자간의 협의체, 그리고 제도로 남아있을 것”이라며 부정했다.
다만 “필요하다면 일본과는 별도의 (확장 억제) 형식을 따로 만들어 진행할 수는 있다”고 했다.
한편 김 차장은 한일중 정상회의 개최 시기를 내년 상반기로 예측하면서도 각국 현안과 일정 등을 감안해 내년 초는 어려울 것으로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