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럼프는 취임 이후 이미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20%포인트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틱톡 거래와 관련해 “다음 주까지 최소한 개요 수준의 합의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라며 “합의가 완료되지 않더라도 기한을 연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그는 “우리는 어떤 형태로든 합의를 보게 될 것이다”며 “하지만 마무리되지 않더라도 큰일은 아니다. 그냥 기한을 연장하면 된다”고 말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내달 2일부터 수입산 자동차에 25%의 관세를 영구적으로 물리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오는 4월2일 각국의 관세·비관세장벽·환율정책·부가세 등에 상응하는 ‘상호관세’와 별도로 품목별 관세를 따로 부과한 것이다.
그러면서 그는 “관세는 연방부채를 줄이는 데 사용할 것”이라며 “자동체 관세는 영구적으로 적용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는 자동차 관세가 협상용이 아니라고 선을 그은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동차 관세를 물린 후 이 수입을 대규모 감세 재원 마련에 사용할 것으로 해석된다. 트럼프 행정부는 소득세 및 법인세 대규모 감세를 검토 중인데, 이를 시행할 경우 가뜩이나 눈덩이처럼 불어난 재정적자를 더욱 악화시킬 수 있다. 이를 메우기 위해선 일정 규모의 관세 수입이 필요한 상황이다. 일각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즉시 관세를 서두르는 이유엔 부족한 세수를 확보하기 위한 차원이라는 분석도 내놓고 있다. 트럼프 보좌관은 “외국산 자동차 관세로 연간 1천억달러 수입 기대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동시에 트럼프 대통령은 자동차 관세를 통해 미국 내 자동차 공장 확대를 꾀하고 있다. 그는 미국산 자동차에는 세제혜택을 주겠다는 뜻도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산 차량을 구입하면 대출이자를 세액공제할 수도 있다”고 언급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아울러 4월2일 발표할 상호관세에 대해선 “모든 국가에 적용될 것”이라면서도 “훨씬 관대해질 것”이라고 언급했다. 아울러 제약, 목재 등 품목에 대해서도 관세를 별도로 발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