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종잡을 수 없는 트럼프…'상호관세 면제' 삼성 한시름 덜었나

김정남 기자I 2025.04.13 17:39:15

'가격 폭등 우려' 빅테크 불만 쏟아지자
트럼프, 주요 IT 제품들 상호관세 면제
중국산 아이폰, '관세 충격' 미미해질듯
스마트폰·반도체 등 생산하는 삼성 수혜
트럼프, 14일 반도체 품목관세 내놓을듯
'K반도체, 어떤 영향 받을까' 업계 촉각

[이데일리 김정남 기자, 뉴욕=김상윤 특파원] “도무지 종잡을 수 없습니다. 매일 쏟아지는 관세 정책을 하나하나 보면서 대응하는 수밖에 없어요.”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국경보호국(CBP)이 지난 12일(현지시간) △스마트폰 △노트북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평판TV 디스플레이 △태양전지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저장장치(GPU) 등 컴퓨터용 프로세서 △메모리 반도체 △반도체 제조 장비 등을 대상으로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하겠다고 돌연 발표하자, 국내 산업계에서는 이런 반응이 나왔다.

‘관세 면제’ 삼성 한시름 덜었나

트럼프 행정부가 일부 IT 제품들에 대한 상호관세 면제를 천명한 이유는 비교적 명확하다. 미국은 중국에 다른 나라들(10%)보다 훨씬 높은 1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하면서 ‘중국 때리기’를 본격화했다.

그런데 문제는 애플 등 미국 빅테크들이 중국을 주요 생산 거점으로 삼고 있다는 점이었다. 애플은 미국인들의 생활필수품 격인 아이폰, 아이패드 등을 중국에서 80% 이상 생산한다. 트럼프 대통령 입장에서 아이폰 가격이 폭등해 미국인들의 불만을 사면, 내년 중간선거는 난항을 겪을 수밖에 없다. 이에 중국산 IT 제품들은 일단 상호관세를 매기지 않기로 한 것이다.

(그래픽=김일환 기자)


삼성전자 역시 주요 수혜 기업 중 하나라는 평가가 나온다. 삼성전자는 중국에서 스마트폰을 만들지는 않는다. 베트남에서 절반 이상 생산한다. 미국은 베트남에 대한 상호관세율은 46%로 정했다가, 90일 유예조치를 취했다. IT업계 한 관계자는 “중국산 IT 기기에 관세를 매기지 않으면 다른 지역들도 그렇게 적용할 것으로 본다”며 “불확실성을 덜어낸 측면이 있다”고 했다.

블룸버그는 “이번 조치는 삼성전자, 애플, 델, 엔비디아 등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빅테크들이 일단 최악의 아마겟돈은 피했다는 게 외신들의 주된 진단이다. 애플 등에 디스플레이, 카메라 모듈 등을 공급하는 국내 부품업계도 안도하고 있다.

반도체업계 역시 반색하고 있다.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 반도체 제조 장비 등이 빠지면서 미국에 대규모 공장을 짓고 있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이 비용 절감 측면에서 수혜를 입을 수 있는 것이다. 두 회사가 중국을 주요 생산 거점으로 두고 있다는 점도 긍정적이다. 더 나아가 스마트폰, 노트북 등이 수요 타격을 입지 않을 경우 메모리 반도체 업황이 고공행진을 할 수 있다는 기대도 있다.

특히 삼성전자(005930)는 이날 트럼프 행정부가 면제한 품목 중 상당수를 생산하는 종합전자회사다. 삼성디스플레이, 삼성전기(009150) 등까지 넓히면 이번 관세 면제의 최대 수혜자 중 한 곳이라는 말까지 나온다.

14일 반도체 품목관세 여부 주목

문제는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발표 타이밍이 너무 갑작스럽고 정책 규모가 크다는 점이다. 이날 상호관세 면제 하나로 안도할 수만은 없다는 반응들이 더 쏟아지는 이유다.

당장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플로리다주 팜비치에서 마이애미로 이동하면서 기자들과 만나 반도체 품목관세와 관련해 “14일에 그에 대한 답을 주겠다”며 “매우 구체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품목관세는 국가별로 매기는 상호관세와 달리 업종별로 매기는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무역확장법 232조에 근거해 자동차와 철강에 각각 25%의 품목관세를 부과한 상태다. 무역확장법 232조는 외국산 수입 제품이 미국 국가 안보에 위협을 끼칠 경우 긴급하게 조치를 할 수 있는 권한을 미국 대통령에게 부여하고 있다. 자동차 등의 전례를 볼 때 반도체 역시 25% 이상은 각오해야 한다는 관측이 많다.

실제 백악관은 캐롤라인 레빗 대변인 명의의 성명을 통해 미국은 반도체, 스마트폰 등을 생산하는데 중국에 의존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번 관세 유예가 앞으로도 중국에서 반도체 등을 생산할 수 있다는 걸 뜻하는 것은 아니라는 의미로 읽힌다. 말 그대로 임시 조치일뿐이라는 뜻이다. 블룸버그는 “조만간 다른 유형의 관세를 또 적용할 수 있다”고 전했다.

미국이 반도체 관세를 현실화한다면, 이는 거의 30년 만이다. 세계무역기구(WTO) 회원국들은 1996년 당시 정보기술협정(ITA)을 통해 전 세계적으로 IT 제품에 대한 무관세 원칙을 규정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반도체 관세는 ‘WTO 체제’의 종말을 알리는 극적인 장면이 될 것으로 보인다. 한국과 중국에 생산 거점을 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은 트럼프 집권 4년 내내 불확실성에 휩싸일 수 있다.

반도체업계 인사들은 “반도체는 글로벌 산업계에 워낙 복잡하게 얽혀 있어 산업계 공급망 전반을 뒤흔들 것”이라고 입을 모은다. 인공지능(AI)을 비롯해 전자기기, 자동차, 가전, 기계 등 웬만한 제품들에는 반도체가 탑재돼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특히 트럼프 행정부가 오픈AI, 소프트뱅크와 손잡고 야심 차게 추진한 데이터센터 구축 프로젝트 ‘스타게이트’ 등은 반도체 품귀현상과 이에 따른 가격 급등으로 사업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우려가 적지 않다.

반도체업계 한 고위관계자는 “개별 기업들이 트럼프 관세정책에 따라 움직이는 것은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며 “정부 차원에서 미국과 관세 담판을 짓는 것 외에는 대응 전략이 잘 보이지 않는다”고 토로했다.

트럼프 관세 전쟁

- 반도체장비 관세 포함 땐…삼성 美공장 어떤 영향 받나 - 美상무부, 中 겨냥 동남아 태양광에 최대 3521% 관세 부과 - 日 “관세협상 패키지로 갈 것”…이르면 내주 협상안 제시

배너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