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는 “녹색당은 오랜 시간동안 한국 사회 ‘녹색정치’의 한 축을 담당해왔고, 정의당 역시 기후위기 극복을 위한 정치적 노력을 더이상 후순위로 두거나 나중으로 미뤄서는 안 된다는 점을 확인해왔다”며 “22대 국회에서 (정의당과 녹색당은) 양당 연합의 끈을 놓치지 않고 공동기구를 통한 의회 전술을 펼치고, ‘기후정치’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기 위한 더 높은 수준의 연합을 이어가게 될 것”이라고 했다.
정의당은 앞서 서울 강서구청장 보궐선거에서 권수정 후보를 냈지만, 득표율 1.83%라는 초라한 성적표를 받아 내홍이 깊어지고 있다. 당내 제3지대 확장을 주장하는 ‘대안신당’ 당원 모임과 류호정·장혜영 의원 등이 주도하는 ‘세 번째 권력’은 이 대표 등 지도부의 총사퇴와 당의 노선 전환 등 쇄신을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이 대표는 이날 사퇴론에 대해 “단순히 한 번의 선거 실패뿐만 아니라 지난 몇 년 동안 누적된 정의당의 침체, 그리고 지난 1년 동안 그 침체를 ‘혁신 재창당’으로 극복하라는 당원들의 요구에 부응하지 못한 측면”이라며 “제 거취에 대해서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고민해 왔다”고 했다. 그러면서 “많은 당 내외 지도부들이 ‘강서 보궐선거로 끝이 아니라 혁신 재창당의 소임을 마무리하면서 평가를 받는 것이 옳겠다’는 의견을 줬다”며 “11월 중순 정의당의 ‘혁신 재창당’ 1단계 윤곽이 잡히면, 2단계 ‘연합 정치’에 대한 논의와 총선을 이끌어갈 지도 체제를 정비하는 수순을 밟아가게 될 것”이라고 사실상 사퇴 거부 의지를 피력했다.
이 대표는 녹색당과의 선거연합정당이 내년 총선에서 단순히 의석수 확보를 위한 ‘비례위성정당’이라는 지적에 대해 “총선의 모든 후보를 하나의 당에서 함께 선출하고, 지역구 후보를 포함해 함께 선거를 치른다는 점에서 비례정당이 아니다”며 “정의당과 녹색당은 대등한 관계에서 공동의 지향을 함께 실현하기 위해 힘을 합치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양향자 의원의 신당 ‘한국의희망’과 금태섭 전 의원이 창당을 준비하는 ‘새로운 선택’ 등 다양한 제3지대와 기후위기를 중심으로 한 공동 가치 확인을 통한 연대 또는 통합의 확장 가능성을 드러냈다. 그는 “총선을 위한 일회적 대응이 아니라 보다 많은 ‘기후시민’들과 정의로운 전환을 준비해야 하는 노동세력들을 결집시키는 과정이 될 것”이라며 “기후위기, 불평등, 지역소멸 문제 등 한국 사회의 핵심 과제를 반드시 해결하고자 하는 의지를 갖는 정치 세력들과 다양한 접촉을 통해 더 넓고 깊은 연대와 연합을 추진하겠다”고 역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