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일(현지시간) AFP 통신에 따르면 미국 레스토랑 리뷰 사이트 옐프와 호출형 차량 공유서비스 업체 리프트 등 50여개 기업은 임신 6주 이후 임신중절을 금지하는 텍사스법에 반대하는 서명에 동참했다.
이번 서명운동은 미국시민자유연합(ACLU) 등 임신중절권 옹호 단체들이 주도했다. 아이스크림 업체 벤앤제리와 클라우드 서비스 박스, 화장품 업체 더바디숍, 의류업체 파타고니아와 스티치픽스, 데이팅 애플리케이션 범블 등도 동참했다.
이들 기업은 성명에서 “낙태를 포함한 종합적인 접근을 제한하는 것은 직원과 고객의 건강, 독립성, 경제적인 안정을 위협한다”며 “우리의 가치에 어긋나고 기업 활동에도 좋지 않다”고 밝혔다.
이어 낙태금지법이 인력 채용과 직원 복지에 대한 기업의 대응 능력을 훼손하며, 양성평등을 향한 미래를 위험에 빠뜨리고 있다고도 지적했다.
하지만 애플과 MS를 비롯해 아마존, 구글 등 빅테크 기업들과 스타벅스 등 주요 기업들은 반대 서명에 거부하거나 별도의 입장을 밝히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은 동성애자 인권 문제나 흑인 문제, 아시안 혐오 문제 등 다양한 사회적 문제에 목소리를 높여 왔지만 임신중절권에 대해서는 입장을 내지 않았다.
|
실제 실리콘밸리 빅테크 기업들은 코로나19 이후 실리콘밸리의 악명높은 물가와 집값을 피해 텍사스로 이주하고 있다. 오라클과 휴렛팩커드(HP)는 소득세율 13%로 미 전역에서 가장 높은 캘리포니아주를 떠나 본사를 텍사스로 이동했고,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도 텍사스로 주소지를 옮겼다. 텍사스가 기업 법인세를 깎아주는 데다 개인 소득세는 부과하지 않는 등 유인책을 제시하면서다.
텍사스주가 실시한 낙태금지법은 낙태 금지 시기를 현행 20주에서 태아의 심장 박동이 감지되는 6주로 앞당긴 것이다. 통상 6주는 여성이 임신 사실을 인지하지 못할 수 있는 기간이라 사실상 낙태를 금지한 셈이다. 낙태금지법은 낙태를 한 여성은 물론, 낙태 시술을 해 준 의료진과 해당 여성을 병원으로 태워다 준 택시기사까지도 처벌하도록 한다. 근친상간과 강간 등 범죄에 따른 희생자에게도 예외 없이 적용해 여성의 기본권을 해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MS 대변인은 “공개적으로 발언하지 않는다고 해서 낙태금지법에 대한 대응책을 마련하지 않겠다는 뜻이 아니다”라며 “반대 성명도 수단이긴 하지만, 우리의 궁극적인 목표는 아니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