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쉬었음’은 비경제활동인구 중 특별한 질병 등 사유로 인한 것이 아닌 ‘쉬었음’ 항목에 응답하는 경우 분류된다.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 조사표 중에는 ‘지난 주에 주로 무엇을 하였습니까’라는 질문이 있는데, 육아나 가사와 같은 돌봄 노동, 진학 준비나 입시학원, 취업 준비 등 취업에 필요한 활동이 아닌 ‘쉬었음’에 응답한 경우 집계된다.
특히 청년층의 경우 ‘니트족’으로 대표되는 은둔 청년 등 사회적 문제와 결부되는 경우가 있어 쉬었음 인구가 큰 편이다. 지난 12월 15~29세 쉬었음 인구는 41만 1000명으로, 1년 전 같은 기간 대비 12.3% 늘어났다. 전체 청년층 인구가 3.0% 줄어들었음에도 오히려 쉬었음 청년은 늘어난 것이다. 특히 지난 한 해 전체 청년층의 쉬었음은 42만 1000명으로, 코로나19 시기였던 2020년(44만 8000명) 이후 최대치다.
이처럼 쉬었음 인구가 늘어나는 것에는 다양한 이유가 있다. 코로나19 기저효과로 인한 고용 증가세가 잦아들고, 올해도 경기 전망이 공개채용에서 수시채용으로의 채용문화 변화나 눈높이에 맞지 않는 일자리로 인한 ‘미스매칭’ 등 다양한 변화가 반영된 것이다.
특히 ‘쉬었음’은 주관적인 답변의 영역이기도 하다. 응답자 본인이 자신의 상황을 인식하는 것에 따라 답변이 달라질 수 있다는 의미로 구조적인 문제와 더불어 개인적인 상황과도 연계돼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통계청 관계자는 “취업을 준비하며 자신이 오랜 기간 쉬었다고 생각한다면 ‘쉬었음’에 응답하거나, 자신의 상태를 명확히 설명하기 어려운 경우 등도 포함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쉬었음 청년이 늘어나는 만큼 정부도 이들의 노동 시장 진입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지원 중이다. 정부의 올해 경제정책방향에는 맞춤형 프로그램을 연계해 지원하도록 미취업 청년들을 직접 찾아가는 ‘청년 고용 올케어 플랫폼’ 확대 내용을 담았다. 또 도움이 필요한 은둔 청년이라면 심리상담 등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청년 쉬었음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청년 개인별 원인 파악은 물론 정책적인 도움이 필요하다는 제언도 나온다. 유자영 한국지방행정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쉬었음 청년 지원 방안’을 통해 쉬었음 청년의 실태와 정책 수요를 파악하는 것이 정책 수립의 선결 조건이 돼야 한다고 짚었다.
유 부연구위원은 “모든 쉬었음 청년들은 재학과 구직, 재직 상태 유지라는 정책 프로그램을 필요로 하지만, 유형별로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들은 서로 달랐다”며 “청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지역 간 네트워크 구축이나 양질의 조직 문화, 일하는 방식 개선 등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