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0m가 넘는 대형 불화인 괘불도는 범어사의 큰 법회 시 야외에서 사용됐다. 전통불화 도상을 기반으로 현대적인 음영기법을 활용했다는 점이 특징이다. 20세기 초의 시대적인 특성이 잘 드러나 있어 근대기 불화 연구에 이정표가 될 만한 작품이라는 평가다.
괘불도 하단에는 장문의 묵서로 화기가 기술돼 있다. 화기 첫 부분에는 대한광무 9년(1905년)에 조성됐다는 사실과 함께 총 16명의 화승의 이름이 기록돼 있다.
대웅전 후불벽 뒤 공간에 보관되었던 괘불함은 괘불도와 같은 금속 재질의 문양 장식이 있어 같은 시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
이번에 등록 예고한 ‘7합5작 가로긴 목제 되’는 평식원이 1902년 제정한 도량형 규칙이 아닌 농상공부 평식과의 1905년 도량형법에 따른 칠합오작(약 1350㎤에 해당하는 부피) 부피를 기준으로 제작했다.
평식원은 도량형을 전문으로 관리하기 위해 1902년 설립한 국가기관이다. 농상공부는 1895년(고종 32년) 농업·상업·공업 등의 행정을 관장하던 중앙 행정 기관이다. 되는 곡식·액체 등의 분량을 헤아리는 데 쓰는 그릇을 뜻한다.
국가유산청은 “당시의 도량형 운영 체계와 근대기 도량형 및 생활사의 변천을 보여주는 유물”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앞으로도 근현대문화유산을 꾸준히 발굴·등록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