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 아이디어 구체화…재집권 땐 통상 리스크
중국산에 폭탄 세금 예고…“韓 메모리, 中 판로 막힐 것”
가전제품도 세이프가드 재연 우려…“美 공장 확대 불가피”
[이데일리 김응열 기자] 오는 11월 미국 대통령 선거가 다가오면서 국내 전자업계에 ‘트럼프 리스크’가 커지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 대통령이 재집권하면 대중관세 증가 등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강화가 불 보듯 뻔하기 때문이다. 국내 핵심 산업 반도체의 중심인
삼성전자(005930)와
SK하이닉스(000660)는 물론
LG전자(066570) 등 가전사업도 차질을 빚을 우려가 크다.
| 공화당 대선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13일(현지시간) 워싱턴D.C. 에서 연설하고 있다. |
|
16일 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전 대통령이 공화당 대선 후보로 나오면서 내세우는 관세정책은 전 수입품 10% 보편적 기본 관세, 60% 대중국 관세 등이 대표적이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이러한 구상의 구체화 작업을 진행 중이다. 지난 13일(현지시간) 트럼프는 공화당 하원의원들을 만나 소득세를 폐지하고 수입품 관세 부과로 세수를 대신하겠다는 아이디어를 꺼낸 것으로 알려졌다. 같은 날 워싱턴D.C에서 열린 비즈니스라운드테이블(BRT) 행사에서는 법인세율을 기존 21%에서 20%로 낮춘다는 계획도 밝혔다.
국내 산업계로선 트럼프의 재집권 가능성에 촉각을 기울일 수밖에 없다. 한국 핵심 산업인 반도체만 해도 타격이 불가피하다. 삼성전자는 중국 시안과 쑤저우에 각각 낸드플래시 및 패키징시설을, SK하이닉스는 우시 D램 및 다롄 낸드 생산공장을 구축해놨다. 이 생산기지에서 만들어진 메모리는 통상 중국 IT 기기에 탑재된다. 미국의 대중관세 부담이 커지면 중국산 IT 기기 소비가 줄어드는 동시에 우리 기업들이 만드는 메모리 수요도 감소한다.
경희권 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2기 트럼프 정부가 출범하면 중국 ICT 최종재 산업에 대한 관세부담이 늘어날 것”이라며 “중국에 편중된 우리 반도체 판로상 충격이 우려된다”고 봤다.
| 반도체 칩. (사진=AFP) |
|
가전사업도 영향권이다. 업계에선 2017년 발생한 세탁기 세이프가드(긴급수입제한조치) 사태가 다른 가전품목에도 확대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있다. 당시 트럼프 정부는 수입산 세탁기로 자국 산업이 피해를 입고 있다고 판단해 용량 10kg 이상 대형 세탁기를 대상으로 연간 120만대까지는 20%의 관세를, 이를 넘기면 50% 이상 관세를 부과했다. 이에 삼성전자는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주에, LG전자는 테네시주에 세탁기 공장을 짓는 등 생산 현지화로 대응했다.
LG전자는 대선 이후 통상 이슈 발생에 대비하기 위해 세탁기 생산라인 외에 다른 가전제품도 미국에서 생산하는 방법을 고민 중이다. 손창우 LG전자 테네시 법인장은 지난달 말 열린 특파원단 간담회에서 “통상 이슈가 만약 생긴다면 냉장고뿐 아니라 다른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고 했다. 삼성전자는 준비 중인 대응 방안을 아직 대외적으로 밝히지 않았으나, LG전자와 마찬가지로 현지 가전 생산을 늘리는 방법을 검토할 것으로 보인다.
이태규 한국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 선임연구위원은 “반도체의 경우 중국 생산공장 운영의 어려움이 커지는 만큼 국내 투자를 늘리고 가전은 미국 현지 시설을 확대해 관세 공격을 피하는 게 현실적”이라고 말했다.
| 손창우 LG전자 테네시 법인장이 지난달 말 미국 테네시주 클라크스빌 공장에서 열린 특파원단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