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부모들은 자녀 건강에 악영향을 끼칠까 우려하고 있다. 황사는 세계보건기구(WHO)가 규정한 1군 발암물질로 매년 700만명이 이로 인해 사망하고 있다. 경기 파주에서 초3 아들을 키우는 박모(48)씨는 “황사가 심해 아이에게 다시 마스크를 씌웠다”며 “황사가 어린 아이들에게 특히 치명적이라고 하는데 걱정된다”고 말했다.
학부모들은 황사 유입이 심각할 땐 단축수업·휴교 등 적극적인 학사일정 조정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인천에서 초3 아들을 키우는 강모(33)씨는 “황사가 심해서 학교에 단축수업 문의를 했더니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하더라”며 “태풍에는 과잉대응이다 싶을 정도로 휴교·단축수업을 하더니 황사에는 왜 손을 놓고 있는지 모르겠다”고 했다.
교육당국은 황사가 심각했던 지난 12일 각급 학교에 필요에 따라 등·하교 시간을 조정하는 등 학사일정을 조정할 수 있다고 안내했다. 체육활동 등 실외 활동은 금지했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어린이 건강 보호를 위해 어린이집·유치원·학교 등의 휴업·단축수업 등 안전 대책 시행과 안내를 철저히 하라”고 주문했다.
교육당국은 황사를 이유로 학교에 일괄적으로 학사일정 조정을 강요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지역과 학교의 상황이 다르기에 일괄적으로 학사일정 조정을 강요할 수 없다”며 “각급 학교는 수업일수만 지키는 선에서 자율적으로 학사일정을 조정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각급 학교에선 학부모들의 민원을 우려하고 있다. 서울 지역 초등학교 교감 A씨는 “태풍의 경우 교육청에서 일괄적으로 결정해서 학교에 알려주지만 황사는 그렇지 않다”며 “만약 주변 학교가 모두 정상 운영하는데 우리 학교만 휴교한다면 학부모들의 항의를 감당할 수 없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교원단체에서는 휴교 등 학사일정 조정에 대한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각급 학교에 안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조성철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대변인은 “학교 현장은 황사가 어느정도로 심각할 때 아이들의 건강에 피해를 주는지에 대한 전문성을 갖고 있지 않다”며 “시도교육청에서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일정 수준 이상의 황사가 발생할 경우 단축수업 등 학사일정 조정을 결정하도록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