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월만 놓고 보면 취업자 수는 2891만 5000명으로 1년 전보다 8만명 늘어 증가세를 유지했으나 오름 폭은 코로나 19 팬데믹 시기였던 2021년 2월(-47만 3000명) 이후 3년 3개월 만에 최소 수준으로 축소됐다. 5월 조사주간(12일~18일)에 포함됐던 부처님오신날(15일)과 기상여건 악화 등 일시적 요인의 영향이 크게 작용했다는 게 정부의 분석이다.
지난달 내수 속보 지표가 낙관적이었다는 점에서 고용 상황도 개선세를 보일 거라는 관측이 나온다. 기재부 관계자는 “6월 일평균 수출액과 카드승인액, 입국관광객 등 내수 지표들이 개선세를 보이고 있어 이는 향후 음식숙박업을 비롯해 고용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한국은행과 한국개발연구원(KDI)도 하반기 취업자를 20만명 초중반으로 보고 있는 만큼 5월 증가 폭 보다는 확대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다만 코로나19 이후 2년간 호황을 이어온 고용시장은 올해 누적된 기저효과의 영향이 예상된다. 정부는 지난 3일 발표한 ‘2024년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을 통해 올해 취업자 증가 규모를 당초 전망처럼 23만명으로 유지했다. 연초에는 고용시장이 예상보다 호조를 보였으나 최근 증가 폭이 축소하는 경향이 보이는 데 따른 것이다.
OECD는 11일 ‘2024 한국경제보고서’를 발간한다. OECD는 2년 주기로 회원국의 경제 동향을 분석·평가하고 정책 권고 사항을 포함한 국가별 검토보고서를 발표하고 있다.
앞서 OECD는 지난 5월 발표한 경제전망을 통해 한국의 올해 성장률을 0.4%포인트 상향한 2.6%로 예상했다. 이 수치가 3개월 만에 조정될지 여부가 주목된다. 2년 전 보고서를 통해서는 코로나19 위기 극복에 이어 거리두기 완화에 따른 소비 회복 등에 힘입어 당해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0.1%포인트 높인 2.8%로 예상한 바 있다. 글로벌 경기 둔화로 주요 기관이 올해 한국 성장률을 줄줄이 내리고 있는 가운데 OECD는 거꾸로 간 것이다.
아울러 OECD는 2022년 국가채무비율을 낮추려면 2060년까지 국내총생산(GDP) 10%에 해당하는 추가 수입 또는 지출 삭감이 필요하다고 권고한 바 있다. 급속한 고령화로 재정 부담이 빠르게 증가할거라 예상되는 상황에서 이전 정부보다 엄격한 재정준칙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도 봤다. 통화정책에 대해선 기대인플레이션을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방향으로 유지해야 한다고 했다.
|
◇주간 주요 일정
△8일(월)
11:00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장관·2차관, 국회)
△9일(화)
10:00 국무회의(장관, 서울청사)
△10일(수)
09:00 경제관계장관회의(장관, 서울청사)
15:20 국가·지자체 국유재산 활용협의회(2차관, 비공개)
△11일(목)
15:00 재정사업평가위원회(2차관, 비공개)
△12일(금)
15:00 재정운용전략위원회(2차관, 비공개)
◇주간 보도 계획
△8일(월)
12:00 KDI 경제동향(2024. 7)
△9일(화)
11:00 녹색기후기금(GCF) 3억불 공여협정 서명 및 제2차 손실과 피해 기금 이사회 한국 개최
△10일(수)
08:00 2024년 6월 고용동향
08:00 경제관계장관회의 개최
08:00 「사용후 배터리 산업 육성을 위한법·제도·인프라 구축방안」 발표
08:00 「신산업 분야 규제혁신 및 현장애로 해소 방안(Ⅱ)」 발표
09:00 2024년 6월 고용동향 및 평가
16:30 국가ㆍ지자체 국유재산 활용협의회 개최
23:30 ’23년 OECD 상품시장규제지수(PMR) 발표
△11일(목)
10:00 월간 재정동향(7월호) 발간
12:00 2023년 국제인구이동통계
15:00 2024 OECD 한국경제보고서 발표
16:00 제5차 재정사업평가위원회 개최
△12일(금)
10:00 2024년 7월 최근 경제동향
12:00 KDI 북한경제리뷰(2024. 6)
△13일(토)
-
△14일(일)
12:00 제2회 재정운용전략회의
12:00 「소상공인·자영업자 종합대책」 이행상황 현장점검 (제목 미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