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여행 취소했어요"…잇단 비행기 사고, 커지는 ‘항공 포비아’

정윤지 기자I 2025.02.02 14:54:14

제주항공 참사 이어 부산·미국서 사고
연이은 참사에 비행기 공포감 확산
수수료 감수하고 여행 취소하기도
당분간 ‘항공 포비아’ 이어질 듯

[이데일리 정윤지 기자] 179명의 목숨을 앗아간 제주항공 참사부터 부산 김해공항, 미국 워싱턴과 필라델피아에서까지 비행기 사고가 연이어 발생했다. 시민 사이에서는 여객기 탑승을 꺼리는 ‘항공 포비아(공포증)’도 커지는 모양새다. 특히 저비용항공사(LCC) 여객기에 대한 기피 현상도 보인다. 이 같은 항공 포비아는 사고 특성상 당분간은 쉽게 가시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지난 28일 오후 10시 30분께 김해공항에서 홍콩행 에어부산 항공기 꼬리 부분에서 불이 나 소방대가 진화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2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달 28일 오후 10시 30분쯤 부산 강서구에 위치한 에어부산 여객기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탑승자 176명 전원은 불이 난 직후 슬라이드를 이용해 탈출했다. 이 사고로 경상자 3명이 발생했으며 항공기 동체 윗부분은 전소했다.

지난달 29일(현지시간)에는 미국 워싱턴에서 소형 여객기와 군용 헬기가 상공에서 충돌해 추락하며 탑승자 67명 전원이 사망했다. 워싱턴 사고 이틀 만인 같은 달 31일(현지시간)에는 미국 펜실베니아주 필라델피아에서도 6명이 탑승한 소형 여객기가 도심 번화가로 추락하기도 했다. 이 사고로 탑승객 전원과 지상에 있던 1명이 사망했고 이날까지 최소 19명 이상이 치료를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약 한 달 전 발생한 12·29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의 충격이 가시지 않은 상황에서 항공기 사고가 잇따라 터지며 시민들은 충격에 빠졌다. 설 연휴 기간 일본 여행 후 귀국 직전 사고 소식을 접했다는 강모(23)씨는 “내가 탄 비행기도 사고가 날 까봐 심장이 뛰어 기내에서 한숨도 못 잤다”고 말했다. 이달 말 제주도 가족 여행을 준비하던 이진(39)씨는 수수료 75만 원을 감수하고 취소하기로 결정했다. 이씨는 “편하게 타던 비행기인데 이제는 무섭기만 하다”며 “출발 전부터 사고를 걱정하면서까지 여행을 가고 싶지는 않았다”고 설명했다.

여행 관련 온라인 커뮤니티에도 ‘패키지 여행을 취소할지 고민 중이다’는 등 불안감을 호소하는 글이 이어지고 있다. 또 다른 SNS에는 비행기 공포증으로 신혼여행 취소를 고민하는 글도 올라왔다. 이 글 작성자는 “신혼여행을 위해 표를 발권해뒀지만 항공기 사고를 많이 접해 취소해야 하나 고민 중이다”며 “신혼여행을 가기 싫어지는 마음이 더 커지고 있다”고 토로했다.

29일(현지시간) 워싱턴 DC에서 여객기와 군용 헬리콥터의 충돌·추락 사고가 발생한 후 레이건 내셔널 공항 근처 포토맥 강에서 구조 및 수색 작업이 펼쳐지고 있다. (사진=AFP)
불안감은 저비용 항공사 위주로 더욱 커지고 있다. 한국에서 발생한 두 사고는 공교롭게도 모두 LCC 여객기였던 탓이다. 국토부 항공포털시스템에 따르면, 제주항공 참사 직전 26일간과 직후 26일간 대형 항공사에 비해 저가항공사에서 여객운송실적이 많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주요 LCC인 제주항공, 진에어, 티웨이 항공은 각 29.3%, 10.4%, 5.6% 감소한 반면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은 2%가량 감소했다. 여객기 수요가 커지는 설 연휴 기간을 포함해도 저가 항공사는 감소세가 이어졌지만 대형항공사 두 곳은 2%대로 소폭 증가했다.

항공 포비아는 당분간은 이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비행기 사고의 특성상 자칫하면 대형 참사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허창덕 영남대 사회학과 교수는 “비행기는 자동차보다 사고 가능성이 더 적지만 생존 확률은 지나치게 낮다 보니 두려움을 느끼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업계도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한 여행사 관계자는 “큰 사고가 계속 발생해 무섭다는 반응이 나오는 것 같다”며 “아직 대규모 취소 움직임은 없는 것으로 보이지만 추이를 지켜보고 있다”고 밝혔다.

공포감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사고에 대한 객관성을 유지하는 게 필요하다는 조언도 나왔다. 허 교수는 “요즘 항공기 사고가 많아 두려움을 느끼는 사람들이 늘었는데 항공기 사고는 자동차 사고보다는 흔치 않다”며 “사고를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게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배너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