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중기중앙회·삼성, 상생형 스마트공장 지원사업…31일부터 모집

김세연 기자I 2025.03.30 12:00:00

중기중앙회, 중기부·삼성전자와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
200개 중소·중견기업 제조혁신 지원에 213억원 투입

[이데일리 김세연 기자] 중소기업의 생산량과 인력 효율성 증대에 도움을 주는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사업 모집이 오는 31일부터 실시된다.

(사진=중소기업중앙회)
중소기업중앙회(중기중앙회)와 삼성전자(005930)는 31일부터 ‘2025년 대·중소 상생형(삼성)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사업’(스마트공장 지원사업) 도입기업 신청·접수를 받는다고 30일 밝혔다.

중기중앙회는 중소벤처기업부, 삼성전자와 함께 2018년부터 7년간 약 1200억원 규모로 2367개사의 스마트공장 구축을 지원했다.

올해 사업은 ‘상생형(고도화) 스마트공장’, ‘지자체 연계(기초) 스마트공장 지원’ 등으로 진행되며 총 213억원 규모로 200여개 스마트공장 구축·고도화를 지원할 예정이다.

우선 상생형 스마트공장은 실시간 공장제어 및 설비제어·프로세스 자동화 등을 가능케 해 공장을 고도화하는 것이 목적이다. 총 80개사에 기업당 최대 1억5000만원을 지원한다.

작년부터 추진된 지자체 연계 스마트공장 지원 사업은 ‘기초’ 수준의 스마트공장 구축이 절실한 중소기업을 위해 올해 규모와 예산이 확대됐으며, 총 105개사에 최대 6000만원 또는 8000만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올해 새로 추가된 지자체 강원, 대구, 구미, 포항을 포함해 총 10개 지자체가 참여한다.

이번 스마트 공장 지원사업에는 삼성과 거래관계가 없는 중소·중견기업도 참여가 가능하다. 참여기업은 삼성전자 현직 전문가(170명)의 제조현장 혁신활동 멘토링(3인 1조, 6~10주 업체 상주근무), 판로개척을 위한 스마트비즈엑스포 참가, 삼성 교육 인프라 활용한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 스마트365센터를 통한 사후 유지관리 등의 차별화 프로그램을 지원받을 수 있다.

스마트공장 지원사업은 2019년 86.4%였던 만족도가 2023년 93.6%로 상승하는 등 중소기업의 수요가 꾸준했던 사업이다. 특히 삼성 상생형 사업만의 장점인 제조현장 전문가의 혁신활동 멘토링에 대한 만족도가 92.4%에 달하는 등 참여 중소기업으로부터 사업에 대해 높은 평가를 받았다.

스마트공장 지원사업에 참여했던 쌀 가공식품 제조업체 ‘백제’는 자동화 및 작업 환경 개선으로 떡국 생산량은 40~50%, 쌀국수 생산량은 1% 늘렸다. 수작업 방식으로 진행되던 포장 작업에는 자동화 장비를 도입해 투입 인원을 3분의 1로 줄이는 등 인력 효율성도 높였다.

김기문 중기중앙회장은 “스마트공장 구축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국내를 포함한 해외 판로개척, 기술지원 등 중소기업 매출창출 기회와 새로운 경영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지원받을 수 있어 중소기업에 실질적으로 큰 도움이 되고 있다”며 “기존 사업과 더불어 지자체 협업사업 확대 등을 통해 중소기업의 지속성장 기반을 마련하고 스마트공장 사각지대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배너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