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문화재청, '순천 선암사 일주문' 등 8건 보물 지정

이윤정 기자I 2022.12.28 10:14:32

사찰 일주문 4건·누정 건축 등 4건

[이데일리 이윤정 기자] 전라남도에 위치한 사찰 ‘순천 선암사 일주문’이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됐다.

문화재청은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순천 선암사 일주문’ 등 8건의 문화재를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한다고 28일 밝혔다. 이번에 지정되는 문화재들은 사찰 일주문 4건, 사찰 문루 와 불전, 누정건축, 승탑 등 각 1건이다. 특히 이번에 4건이 지정되는 사찰 일주문은 사찰이 시작되는 영역을 표시하는 정문으로 기둥만 일렬로 서있는 독특한 형식의 문이다.

순천 선암사 일주문(사진=문화재청).
‘순천 선암사 일주문’은 ‘조계문’으로도 불리며 1540년 중창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일주문 앞쪽에는 ‘조계산선암사’라는 현판이 걸려있다. 선암사 일주문은 단칸 맞배지붕과 다포식 공포로 되어있으며, 기둥 구조는 기둥과 창방(기둥 상부에서 기둥과 기둥을 연결하는 가로 부재)으로 단순하게 구성됐다. 선암사 일주문의 초창 기록은 확인할 수 없으나 조선시대 기록을 통해 중창 이후 임진왜란(1592)과 병자호란(1636) 때 유일하게 소실을 면한 건축물임을 알 수 있다.

‘문경 봉암사 봉황문’은 정확한 창건 기록은 없으나, 다른 기록을 통해 1723년 이전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대구 동화사 봉황문’은 1633년(인조 11년)에 처음 건립됐고, 1965년에 현 위치로 이건했다. 구조는 주기둥 상부에 비스듬히 부재를 덧댄 형태와 주기둥 옆에 2개의 보조기둥을 세운 형태가 혼합된 형식으로 드문 사례다. 1723년 창건된 ‘구례 천은사 일주문’은 보통 문지방이 목재로 돼 있는 것에 반해 석재로 된 문지방석이 주기둥 사이에 있다.

‘고성 옥천사 자방루’는 상량문 등 기록에 따르면 1664년에 법당 맞은편에 위치한 정문으로 처음 건립됐다. 1764년에 누각형태로 중창되어 ‘정루’ 또는 ‘채방루’라 지칭했다. 자방루는 대웅전에 비해 큰 규모로, 정면의 모든 칸에는 판문(板門)을 두어 개방과 폐쇄를 조절할 수 있다. ‘상주 대산루’는 우복 정경세(1563~1633)가 낙향한 후 우산리에 들어와 은거하고 학문을 닦는 장소로 1602년에 처음 짓고 1778년에 현재와 같은 모습으로 만들어진 누정 겸 서실(書室)이다. 종갓집의 학문과 교류의 거점 역할을 했고, 조선시대 지방 선비의 학문적 생활을 엿볼 수 있는 역사적 자료다.

‘성남 봉국사 대광명전’이 있는 봉국사는 조선 현종의 딸인 명혜와 명선 두 공주가 병에 걸려 잇달아 세상을 떠나자 이들의 명복을 빌기 위해 왕실 주도로 창건한 절이다. 내부 닫집(부처님 머리 위로 지붕이 있는 작은 공간)의 화려한 구성은 이 건물이 왕실의 지원 아래 조성되었을 가능성을 보여주며 불상을 중심으로 주변의 장엄을 돋보이게 치장한 방식은 조선후기 불전 사례의 하나로 평가된다.

‘남원 실상사 편운화상탑’은 고승인 편운화상(?~910)에 대한 공양과 추모의 의미를 담은 조형물이다. 탑신 표면에 새겨진 명문에 따르면 후백제와 관련한 문화유산으로, 연호와 간지 등에 의하여 910년에 조성되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신라 말 고려 초 고승을 위한 사리탑은 팔각당형 양식이 주류를 이루었는데, 편운화상탑은 향완(그릇 모양 몸체에 나팔모양의 높은 받침대가 있는 향로)의 형상과 비슷하다. 기단부와 탑신부를 비롯한 전체적인 비례와 비율 등이 조화로워 당대 최고의 장인이 설계와 시공을 담당했던 것으로 판단되어 예술적 가치도 높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