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국은 노동유연성이 높은 편이지만 저생산성 업종을 중심으로 고용이 증가하면서 고생산성 업종으로 고용이 늘어나는 미국과는 정반대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
영국은 국내총생산(GDP) 대비 투자 비중이 매년 주요국을 약 5%포인트를 지속적으로 하회해왔다. 이렇게 자본 축적이 부족한 상황에서 낮은 임금 상승률이 높은 노동시장 유연성과 결합해 자본 투자보다는 노동 투입을 늘릴 유인이 커졌다는 평가다. 유럽연합(EU) 탈퇴 등 브렉시트가 정치, 경제적 불확실성을 높이기도 했다.
총요소생산성 증가도 부진하다. 2010~2020년까지, 10년간 고용 증가가 상대적으로 저생산성 업종에 집중되면서 전체 생산성 증가가 억제됐다. 생산성이 하락하는 업종에 고용이 몰렸다. 노동시장의 유연해 인력 구조조정이 이뤄지면서 생산성이 높은 업종으로 고용이 몰리는 최근 미국과는 상반된 모습이다.
노동인구의 고령화도 이를 뒷받침한다. 고령화는 노동시장 전반의 기술 습득, 축적을 저해하는데 영국의 경우 고령층의 고용률이 여타 주요국 대비 매우 높은 편이다. 이 경우 자본을 투입해서 효율이 떨어져 노동생산성 제고에 큰 효과를 내기 어렵다.
금융위기 이후 장기간 저금리가 지속되면서 저수익성 기업들의 생명 연장이 가능한 점도 생산성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지목된다. 기업들의 수익성이 떨어지지만 파산신청 건수는 감소했다.
자본투자가 주요국보다 저조하면서 기술혁신도 부진한 편이다. 영국 정부는 주요국에 비해 영국 기업의 디지털 기술 채택이나 차세대 기술 투자가 크게 뒤처지고 있는 점을 생산성 부진의 원인으로 진단했다.
보고서는 “영국의 경우 서비스업 기업들의 디지털화 진전이 늦는 것으로 평가되는데 영국 경영진이 기존 노동비용과 이를 대체하는 신기술 도입비용만을 단순 비교해 디지털 기술 도입 여부를 결정하는 경향이 크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정부 주도의 적극적인 투자 인센티브 확대 조치가 필요하고 기업 경영진도 장기 시계에서 생산성을 제고할 수 있는 신기술 도입에 적극적 자세를 취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또 고용이 보다 생산성이 높은 업종으로 이전되고 좀비기업이 연명하면서 자금의 효율적 배분을 훼손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그나마 보고서는 향후 영국의 노동생산성이 개선될 것이라고 봤다. 영국 정부가 추계 재정계획에서 100% 투자비용공제를 3년 한시에서 영구화한 점 등이 기업 투자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