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먼저 관세 부과와 관련해 더 확산하는지 여부는 중국이 어떻게 대응하는지에 달렸다고 판단했다. 보편적 관세를 부과한 것도 중국의 우회 수출까지 차단하겠다는 의도가 크다고 보기 때문이다.
양 연구원은 “미국이 중국으로 수출하는 것은 많지가 않아 중국 정부의 보복관세는 효과가 크지 않다”며 “그렇다면 중국이 대응할 수 있는 것은 관세 부과를 위안화 절하로 완충시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이번에는 쉽지 않을 것으로 양 연구원은 봤다. 현재 수준에서 위안화 추가 절하는 중국도 내수 구매력을 약화시켜 경기 부양에 부담이 되기 때문이다.
양 연구원은 “통화와 관련해서는 다른 국가에도 비슷하게 적용된다”며 “통화 절하로 대응이 나올 경우 관세 부과가 촉발한 무역갈등은 확대될 수 있다”고 전했다.
또한, 시장이 단기간에 급락해 일부 유동성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고도 봤다. 단기 자금 시장에서 달러 유동성이 문제가 되면 경기 문제에서 신용 경색으로까지 문제가 확대되기 떄문이다.
따라서 단기 자금시장 관련된 지표들을 확인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양 연구원은 “연준의 금리 인하 시까지 유동성 안정이 필요하다”며 “아직 단기 자금 시장관련 지표는 안정적”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