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히 이날 회의에서는 고령층 및 취약계층의 일자리와 소득 안정 등을 위해 내년 1분기 내 연간 계획인원인 117만7000명의 90%, 상반기까지 약 97% 이상 조기집행 추진계획이 마련됐다.
정부는 “앞으로도 관계부처와 함께 일자리 TF 등을 통해 채용 현황 및 예산 집행 실적을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예산안이 국회에서 확정되면 바로 집행될 수 있도록 사전 준비에 만전을 기할 예정”이라며 “지속가능한 양질의 민간 일자리 창출을 위해 고용서비스, 직업훈련 등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사업의 이행 상황도 지속 점검해 나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정부는 11월 고용률은 63.1%, 실업률은 2.3%로 각각 11월 기준 역대 최고·최저라고 강조했다. 취업자수는 생산연령인구 감소에도 불구 전년대비 27만7000명 증가하는 등 견조한 흐름이 지속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정부는 “청년 고용률(46.3%)은 10개월 만에 증가 전환되고, 핵심 취업 연령대인 20대 후반 고용률은 72.8%로 역대 최고, 20대 초반 고용률도 2개월 연속 상승하는 등 양호한 모습”이라며 “업종별로는 제조업 계절조정 취업자수 전월비가 5개월만에 증가 전환되고 전년동월비 감소폭이 큰 폭 축소됐고, 정보통신업,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 취업자수도 33개월 연속 증가하는 등 긍정적인 모습”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한국은행, 한국개발연구원, 한국노동연구원은 모두 내년 고용이 양호할 것으로 전망했다. 각각 올해보다 24만명, 21만명, 26만명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취업자수는 지난 2년간 높은 취업자수 증가에 따른 기저효과 및 내수증가세 둔화 등에 따라 증가폭이 다소 둔화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고용률·실업률 지표는 양호한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다.
정부는 내년 거시경제와 산업별 업황, 이날 논의 결과 등을 반영해 경제정책방향을 통해 내년 고용전망을 공개할 예정이다. 이어 노동연구원은 고용지표에 대한 해외사례 분석결과, 대부분의 국가에서 취업자수와 함께 고용률・실업률 등 비율지표를 함께 발표하고 있고,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인구변동이 심한 경우에는 비율지표가 고용상황 판단에 보다 용이하다고 발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