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물 위주 강세에 따라 10년물과 3년물의 금리 스프레드가 좁혀지며 수익률 곡선이 평탄해질 것으로 보인다.(불 플래트닝) 채권 금리 하락은 채권 가격 상승이다. 이날 공개된 한국 10월 기대인플레이션율은 3.4%로 8개월 만에 반등했다. 이는 단기물 위주로 금리 상승을 자극할 수 있다.
|
미 2년물 금리가 상승한 것은 미국 지표가 시장 예상치를 상회한 영향도 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글로벌이 발표한 10월 제조업 및 서비스 구매관리자지수(PMI) 예비치는 각각 50.0, 50.9로 시장 예상치 49, 49.9를 웃돌았다.
그러나 미국 경기는 고금리 장기화 속에 둔화 우려가 커지는 분위기다. 세계 최대 헤지펀드인 브리지워터 어소시에이츠의 창업자 레이 달리오는 내년도 경기 전망에 대해 “비관적이다”라고 언급했다.
이에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은 여전히 낮은 편이다. CME페드워치에 따르면 11월과 12월 금리 동결 확률은 각각 99.7%, 75.0%로 높다.
국제유가는 이스라엘과 하마스 전쟁을 주시하는 가운데 인질 석방 협상 등 긴장 완화로 하락세를 이어갔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11월 인도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날보다 1.75달러(2.05%) 하락한 배럴당 83.74달러에 마감했다. 이는 지난 12일 이후 최저치다.
이런 분위기 속에 이날 국내 국고채 시장은 장 중 아시아 장에서의 미국채 흐름을 주시하며 장기물 위주로 강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장기물 10~30년물 구간 금리의 역전폭도 축소될 전망이다. 한 외국계 은행 딜러는 “시장이 강해질 때 해당 구간의 역전폭이 줄어드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단기물 금리는 상승하며 약세를 보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기대인플레이션율이 올라가면 금리 인상을 검토할 수 있다고 밝혔는데 10월 기대인플레이션율이 3.4%로 0.1%포인트 상승했다. 8개월 만에 상승 반전이다. 이는 이스라엘·하마스간 분쟁으로 국제유가 상승 우려가 커진 데다 공공요금 인상이 본격화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중동분쟁 불확실성에 물가 상승 우려, 고금리 장기화까지 맞물리면서 소비심리지수는 석 달 연속 하락세를 보였다.
한편 장 마감 후에는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이사회 의장 연설이 예정됐다. 오는 31일 진행되는 11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앞둔 마지막 연설이지만 블랙아웃 기간인 만큼 파월 의장이 큰 힌트를 줄 가능성은 낮아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