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김 부부장은 전날 ‘미한일의 시대착오적인 비핵화 집념은 우리 국가의 그 어떤 영향도 미칠 수 없다’는 제목으로 담화를 발표했다.
김 부부장은 지난 3일 벨기에 브뤼셀에서 개최된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 외교장관회의를 계기로 한미일 외교장관이 만나서 발표한 공동성명에 담긴 북한 비핵화 의지에 대해 문제삼았다. 그는 “실현불가능한 망상에 불과하다”며 “아직까지도 실패한 과거의 꿈속에서 헤매이며 ‘완전한 비핵화’를 입에 달고 다니는 것은 자기들의 정치적 판별수준이 어느 정도로 구시대적이고 몰상식한가를 스스로 세상에 드러내 보이는 것”이라고 비난했다.
이어 “진짜 그것을 믿고 ‘비핵화’를 열창하는 것이라면 뭐가 모자라다는 말밖에 듣지 못할 것”이라고 조롱했다.
김 부부장은 북한의 ‘핵보유국 지위’가 “외부의 적대적 위협과 현재와 미래의 세계안보역학구도의 변천을 정확히 반영한 필연적 선택의 결과”라며 “누가 부정한다고 하여 달라지는 것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또 “우리의 면전에서 핵포기를 공공연히 떠드는 것은 물론 이러저러한 보자기를 씌워 이미 사문화된 ‘비핵화’ 개념을 부활시켜보려고 시도하는 것 그 자체도 곧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주권을 부정하고 헌법포기, 제도포기를 강요하는 가장 적대적인 행위”라고 지적했다.
김 부부장은 “미국과 그 추종세력들이 그 누구의 ‘위협’을 떠들어대며 시대착오적인 ‘비핵화’에 계속 집념한다면 최강의 자위적 핵력량 구축을 지향하는 우리의 전진도상에 무제한의 당위성과 명분만을 깔아주게 될 뿐”이라고 위협했다.
아울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미국의 핵위협도수가 극대화되고 핵동맹대결책동이 날로 적극화되고있는 현실에 립각하여 국가의 최고리익을 철저히 수호하고 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담보하기 위한 책임적인 노력을 계속 기울여나갈것”이라며 핵무장 노선을 견지하겠다는 의지도 덧붙였다.
이번 김 부부장의 담화는 지난 3일 이후 한 달여만이다. 앞서 김 부부장은 미 항공모함 칼빈슨함의 부산 입항 때 “전략적 수준의 위혁적 행동을 증대시키는 선택안”을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북한은 또 지난 2월 독일 뮌헨에서 열린 한미일 외교장관회담 후에도 ‘북한 비핵화’에 대해 반발하며 외무성 대변인명의의 담화를 발표한 바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