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데일리 오현주 문화전문기자] 작가 문준용(38)을 만났다. 무리에 섞여 있지 않은 그를 단독으로 만난 건 두 번째. 3년 반 만이다. 첫 만남은 2017년 6월 초 서울 영등포구 문래동 작업실에서였다. 당시는 아버지 문재인 대통령이 취임한 지 채 한 달이 되지 않았던 때다. 그즈음에 문 작가는 서울 종로구 금호미술관에서 단체전을 열고 있었고, 함께 참여한 다른 작가들에게 미안할 정도로 언론의 관심을 한몸에 받았다. 절대 유쾌한 관심만은 아니었다. 그는 대선 때 불거진 ‘채용특혜’ 논란에 시달리고 있었다(본지 2017년 6월 5일자 ‘문준용 “대통령 아들? 하루살이 걱정하는 예술가일 뿐”’ 참조).
두 번째 만남은 지난 23일에 있었다. 시간만 흘렀을 뿐 별반 달라진 게 없어 보였다. 여전히 그는 대통령의 아들이란 유명세를 치르고 있었고, 서울 중구 금산갤러리에서 개인전을 열고 있었으며, ‘코로나19 피해 예술인 지원금’ 논란에 시달리고 있었다. 아니다. 변한 건 분명히 있다. 상황은 더 험악해졌고, 그는 예전보다 지쳐 보였다.
폭포수처럼 쏟아져 나온 그와 관련한 얘기들과는 다른 말을 직접 들으려 한 것이 그에게 만남을 청한 목적이다. 정치인이나 보수여론과 싸우는 투사가 아닌 ‘예술가 문준용’이 하는 말을 들어야 했다. 인터뷰는 이데일리 본사와 금산갤러리로, 장소를 옮겨가며 2시간 반여 동안 진행했다. 3회에 걸쳐 게재한다.
△“예술인 지원금 일반인에 설명 안 돼 벽에 막혀”
오후 4시경 이데일리 본사 회의실. 인터뷰는 무르익었다. 그렇다고 ‘허심탄회’까지는 아니었다. 문 작가는 말을 아끼고 있었다. 정확하게 ‘작품’ 외에는 말이다. 스스로 검열 중인 것처럼도 보였다. 우스갯소리 2탄이 필요했다. “전시 때마다 격한 화제를 일으키는 비법을 좀 소개해 달라”고 했다. 허탈한 웃음이 터졌다. 사실 그랬다. 그가 SNS에서 손끝으로 옮기는 모든 내용은 말이 좋아 소통이지 왕왕 ‘전쟁터’를 방불케 했다. 먼저 SNS에서 불이 붙고, 이후 정치권으로 옮겨간 뒤, 언론으로 번져가며 맹렬하게 타올랐다.
특히 이번 개인전과 관련한 ‘예술인 지원금’(정확한 명칭은 ‘코로나19 피해 긴급예술지원’이다) 논란은 이제까지와 비교하면 가히 정점을 찍은 수준이다. 특권을 이용해 영세예술인에게 돌아갈 지원금 1400만원을 수령해 전시회를 연 것 아니냐는 비난이 그를 ‘파렴치한’으로까지 몰아갔으니. 이에 대해 문 작가는 SNS에 조목조목 반박글로 대응을 했는데, 무마는커녕 사태를 부추기는 결과를 낳고 말았다. 그 뜨거운 핵이던 ‘예술인 지원금’과 관련해서 그간 생각이 바뀌었을까.
“아니다. 그대로다. 문제는 ‘예술인 지원금’에 대한 설명이 일반인에게 전혀 안 되고 있다는 점이다. 흔히들 소득보전이라고 생각하는데, 그 지원금은 작가 개인의 소득지원을 말하는 게 아니다. 좋은 작품에 투입해 더 좋은 작품을 제작하게 하는 거다. 그렇게 좋은 작품이 생기면 해외로 나갈 수 있고 국내서 새로운 전시를 열 수도 있고, 문화계 자체를 양성할 수 있다. 많은 이들에게 지원하는 소액의 생계지원금은 따로 있다. 그런 설명 자체가 이뤄지지 않아 벽에 막혔다.”
사실 이는 문 작가의 말 그대로다. ‘코로나19 피해 긴급예술지원’은 코로나로 창작활동에 어려움을 겪는 예술인(팀)·예술교육가·문화예술기획자 등을 지원하기 위해 지난 4월 서울시가 서울문화재단을 통해 공모한 사업이다. 서울에 거주지·작업실이 있는 예술인이라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게 했고, 최대 2000만원 150건 내외를 걸었다. 문 작가는 문화재단이 공지한 지원사업 내용 중 예산집행내역(인건비 및 대관료)에 따라 지원신청서와 교부금신청서에서 ‘인건비’로 사업집행계획을 알렸던 것으로 확인됐다. 그가 언급한 “소액의 생계지원금”은 ‘예술인 생계지원금’이란 이름으로 지자체마다 1인당 50∼100만원씩 집행한 다른 지원책이다.
“작품을 혼자 하는 것으로 알고들 있는 것도 같다. 이 부분도 설명이 안 됐다. 미디어아트 작품은 같이 만드는 사람들이 상당히 많다. 외주나 하청을 해야 하는 경우도 있고. 지원금은 거기에 쓰는 돈이다. 센서 하드웨어와 테이블을 만들고, 장비제작, 설치공사,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등. 특히 영상은 절대 혼자 할 수 없다. 영화 같은 거다. 3D 모델링, 3D 애니메이션, 사운드 등 전문인의 도움이 필요하다. 미디어아트 작품이 나온다는 건 방대한 크레디트를 올리는 거다.”
|
△“지원자 천몇백명 서류 내놔라? 정치 목적의 행정력 낭비”
어쨌든 이 난리통이 질릴 만도 할 테다. 과연 다른 지원금 기회가 생기면 또 다시 신청을 하겠는가. 이 질문에 그가 처음으로 잠시 머뭇거렸다. “행정하는 분들이 너무 고생을 해서”라며 말끝까지 흐렸다.
“가령 이번 지원금을 집행한 문화재단에 기자와 국회의원들이 자료를 달라고 요청하는가 보더라. 그래도 기자들 요청자료는 건건이라 괜찮은데 국회의원들은 ‘다 달라’고 한다. ‘문준용과 관련한 자료를 대선 이후 2017년부터 싹 다 내놔라’ 이런 식이다. 전해 듣기론 이번에도 지원자 천몇백명의 서류를 모조리 챙겨달라고 했다더라. 업무량이 실로 어마어마한 거다. 그 일을 해야 할 사람들이 아니지 않나. 이런 일은 처음이라 매뉴얼도 없다고 했다. 문화재단 담당자들에게 미안하다. 미안해서 더는 못할 것 같다. 이젠 내가 미워서 안 뽑아줄 것 같다.”
그러곤 꼬집는 말도 잊지 않았다. “하여튼 이건 잘못된 일이다. 진짜 행정력 낭비다. 국회의원들이 정치에 대통령 자식을 이용하기 위한 목적이 아닌가. 그 때문에 행정력을 낭비하는, 정말 잘못된 일이라 생각한다.”
굳이 ‘SNS에서 나홀로 대응’하는 것 외에 다른 방법이 있을 듯했다. 추측은 피해 간다든가 억측은 무시한다든가. 하지만 이에 대한 그의 생각은 단호했다. “다 해봤다. 안 하는 것보단 낫더라. 학습된 것 같다. 그래도 SNS가 있기 때문에 가만히 있는 것보단 낫다는 게 지난 몇 년 동안의 경험이다.”
그렇다면 부드럽기라도 했으면 좋으련만. 대응방식이 거칠어 보인다는 게 중론이다. “조정은 한다. 대꾸할 내용을 걸러내고, 반박은 하되 재반박은 하지 않고. 싸우자는 것보단 주로 사실 해명 내지 기록으로 남길 목적으로 간다. 날카롭지 않게 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조금 쉬어간다고 생각하는 건 어떨까. 작가로서 할 일이 아닌, 기운 빼는 소모전이지 않은가. “익숙해졌다. 그냥 업무 같다. 홍보실에서 하는 업무. 어쩌다가 이런 업무가 생겨났는지 모르겠지만. 시간낭비이긴 한데, 처리속도도 빨라졌다. 예전에는 며칠씩 걸렸던 일이다. 어찌 보면 나를 공격하는 사람들도 업무로 하는 것 같다.”
주위에서 혹은 청와대에서 ‘좀 자제하면 좋겠다’란 충고를 들었을 법도 하다. “가끔”이란 대답이 나왔다. “괜찮다. 지금으로선 SNS가 유일한 채널이다. SNS가 없었다면 큰일 날 뻔했다. 물론 SNS 때문에 이렇게 확산이 되기도 했지만. 그나마 나 같은 경우에는 훈련기간이 있었던 거다. 문제는 하려면 잘해야 한다는 건데. 어쨌든 유일한 방법 같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