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짜’ 윤 대통령 영상이 딥페이크는 아닌 것으로 확인됐지만, 방심위는 향후 이와 유사한 딥페이크 허위 영상이 유포될 경우 이번과 같은 규정을 적용해 긴급 차단 조치를 한다는 방침이다.
딥페이크 콘텐츠는 기술이 급격하게 향상되면서 실제와 구분이 어려울 정도로 정교해지고 있다. 총선을 앞두고 SNS상 딥페이크 가짜뉴스가 늘어나면 중앙선거관리위원회(선관위)의 현재 인력으로 신속 대응이 어려워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현재 선관위 전담팀 인력은 모니터링반, 인공지능(AI) 감별반, 분석·삭제반, 조사·조치반, 검토 자문단을 포함해 72명이다. 3단계에 걸친 딥페이크 선별 작업은 오래 걸리기 때문에 그사이 선거판을 흔들 개연성이 있다.
문제는 딥페이크 콘텐츠에 대한 일반인의 접근이 쉽다는 점이다. 이는 누구든 손쉽게 제작할 수 있어 무차별 생성·유포 가능성도 있다. 실제 구글·애플 앱스토어에서 ‘딥페이크’라고 치면 수십 개의 애플리케이션(앱)이 나오는데, 이 어플에 가입해 1만원 이하의 소액만 결제하면 사진은 1~2분, 영상은 5분 만에 완성된다. 최소한의 예방장치가 될 수 있는 ‘워터마크’(불법 복제를 막기 위해 삽입하는 표식)가 없는 경우가 허다하다.
빠른 기술 발전과 이에 대한 부작용에 대해 전문가들은 이용자들의 의식 변화에 기댈 수밖에 없다고 했다. 딥페이크 오용이 분명한 문제가 될 수 있다는 시민 의식이 심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김덕진 IT커뮤니케이션 연구소 소장은 “(딥페이크 문제의 해결책은) 냉정하게 말씀드리면 사용자의 자율 권한을 맡기는 수밖에 없다”며 “딥페이크 발전 속도에 비해 필터링 기술이 완벽하지 못하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