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생생확대경]학교는 너희가 와야 봄이다

신하영 기자I 2021.01.28 07:30:15
[이데일리 신하영 기자] 국내에서 첫 코로나 확진자가 발생한 지 벌써 1년이 지났다. 그동안 우리사회는 많은 것이 변했다. 사회적으로는 관계 단절의 시대로도 비유할 수 있을 것이다.

전국 고등학교 2학년, 중학교 3학년, 초등학교 1·2학년과 유치원생의 등교가 시작된 지난해 5월 울산 중구 다전초등학교 신입생들이 교사와 주먹인사를 하고 있다.(사진=뉴시스)


지난 1년간 사람 사이의 관계는 차츰 랜선으로 대체됐다. 화상프로그램을 가동한 뒤 혼술을 마시며 비대면 술자리를 여는 것도 이제는 익숙한 풍경이 됐다. 이에 익숙하지 않은 세대들은 ‘코로나 블루’를 호소하고 있다.

아이들의 교육 문제는 더욱 걱정스럽다. 지식 전달과 학습이야 학교를 나가지 않아도 충족할 수 있다. 학원을 통해서나 인터넷강의(인강)을 통해 부족한 학업은 어느 정도 보충할 수 있을 것이다.

학부모들 사이에선 원격수업이 장기화하면서 학력격차를 걱정하는 목소리가 높다. 한번 벌어진 격차가 훗날 대학입시에도 영향을 미칠 테니 이를 걱정하는 것도 무리는 아니다.

어쩌면 학력격차는 코로나 시대에 잃은 많은 것 중 일부에 지나지 않을지 모른다. 초등학교 입학을 앞두고 설레었을 아이들은 친구의 얼굴도 모른 채 2학년으로 진급해야 한다.

관계 단절의 시대를 사는 아이들은 사회성을 키우기 어렵다. 교사와의 상호작용이나 친구들과의 관계에서 인성·예절·배려·공감을 배울 수 있기 때문이다.

집에만 있던 아이는 초등학교에 입학하고 학년이 올라갈수록 남을 배려하는 것을 배우기 시작한다. 자기중심적이었던 사고에 공감능력과 사회성이 보태어지면서 배려심이 싹트기 시작한다. 요즘은 외동딸·아들이 흔한 시대이니 아이들의 ‘사회화’ 과정은 학교에서 체득하는 또 하나의 중요한 배움이다.

학교는 지식만 전달받는 곳이 아니다. 지적 성장은 물론 신체적·정서적·사회성의 발달을 꾀하는 전인교육의 장이다. 아무리 교권이 추락했다고 하지만 학교의 근본 목적은 변하지 않는다.

작년 한해를 돌아보면 아이들이 사회성을 키우고 전인교육을 받을 기회는 지극히 드물었다. 학교에 가지 않아도 학원에서 친구들과 어울리니 사회성도 거기서 키우게 된다는 얘기도 들린다. 입시교육이나 지식전달에서 공교육이 사교육에 밀리는 것도 안타까운데 사회성 체득까지 학원에서 이뤄진다는 얘기에 씁쓸함은 컸다.

다행히 교육부는 올해 초중고 학생들의 등교를 최대한 늘릴 방침이라고 한다. 유은혜 부총리는 올해의 과제로 ‘학교의 일상 회복’을 꼽았다. 학력격차도 문제이지만 아이들의 사회성 발달에 공백이 생기는 것은 교육당국도 바라지 않을 것이다.

지난해 5월 등교개학을 앞둔 수도권의 한 학교는 교문 앞에 ‘너희가 와야 학교는 봄이다’란 현수막을 내걸었다. 산책 중 우연히 보게 됐지만 여운은 오래갔다. 새삼스럽게 학교와 학생의 의미를 떠올리게 된 계기였기 때문이다.

신학기에 학생들이 등교하지 못하는 학교는 ‘춘래불사춘’이다. 봄이 와도 학생들이 오지 않으면 봄날이라고 할 수 없을 것이다. 진정한 봄날을 맞으려면 사회 구성원이 합심해야 한다. 모두가 방역수칙을 철저히 지키고 감염확산을 막는 노력을 기울일 때 학교는 진정한 봄날을 맞을 수 있을 것이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