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동, 가성비 AI자율트랙터로 美 중소형 농가 공략"

노희준 기자I 2024.11.17 12:00:00

나영중 대동 AI플랫폼사업부문장 인터뷰
온디바이스 AI트랙터 기본 전략, 가성비 AI 트랙터
최대한 싸게 해서...대형트랙터 디폴트로 장착
농업, 10년 후 무인빨래방 같은 무노동 농업 될 것
포스코 낙광로봇 개발完...우크라이나 재건사업 자신있어

[김제(전북)=이데일리 노희준 기자] “미국 농가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199만㎡(60만평) 이하의 중소형 농가를 가성비가 뛰어난 인공지능(AI) 자율주행 트랙터로 적극 공략하겠습니다.”

나영중 대동 AI플랫폼사업부문장 (사진=대동)
나영중 대동(000490) AI플랫폼사업부문장(전무)은 지난 13일 전북 김제에서 이데일리와 만나 코로나19 특수였던 취미농(하미팜) 수요가 사라진 미국 시장과 관련해 “한국이 잘하는 게 가성비가 뛰어난 제품을 만들어 ‘패스트 팔로워’(빠른 추격자) 역할을 하는 것이다. 대동이 AI 분야에서 그렇게 하고 있다”며 이같이 전했다.

대동은 이날 전북 김제 부랑면 벽골제 마을의 한 밭에서 업계 최초로 ‘온디바이스(기기에 탑재된) AI 트랙터’ 시제품을 공개했다. 국내 트랙터에 엔비디아 그래픽처리장치(GUP)가 들어간 AI를 최초로 탑재한 제품이자 세계 1위 농기계 회사 미국의 ‘존디어’와 미국의 전기차 회사 테슬라가 사용하는 비전(카메라) 센서 방식을 채택한 무인 농작업 트택터(자율주행 트랙터)다. 트랙터를 논밭 입구에 갖다 놓고 시동만 켜주면 GPS를 통해 스스로 자기 위치를 잡는다. 또 장착한 카메라로 주변을 인식해 경작지를 찾고 작업기에 따라 맞춤형 작업을 알아서 하게 된다.

나 전무는 “존디어 AI 트랙터와 큰 맥락에서는 비슷하지만 아직 격차는 있다”며 “존디어 AI트랙터는 대형 농장에 사용하지만 중소형 농가에서는 서비스를 하지 못한다”고 강조했다.

존디어가 카메라를 활용한 자율작업을 진행하는 것은 대동과 같다. 다만, 존디어는 카메라 기술을 활용해서 작물 생육과 병해충 상태를 분석하는 상용화 기술까지 보유하고 있다.

대동은 코로나 팬데믹 기간 중에 북미 취미농이 주로 사용하는 소형 트랙터를 앞세워 미국 시장을 공략했다. 하지만 코로나 엔데믹 이후 북미에서 조경 트랙터 수요가 크게 줄었다. 나 전무는 결국 ‘가성비 있는 중소형 AI 트랙터’로 미국 농경시장을 공략하겠다는 복안을 공개한 것이다.

나 전무는 온디바이스 AI 트랙터 가격에 대해 “최대한 싸게 책정할 계획”이라며 “100마력 이상의 대형 트랙터에는 전부 AI 기술을 기본으로 장착할 계획”이라고 했다. 대동의 대형 트랙터 가격은 1억 3000만~1억 4000만원 수준이다.

그는 “온디바이스 AI 트랙터가 궁극적으로는 물류창고에 있는 로봇처럼 될 것”이라며 “물류창고에서는 빨리 물동량을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일부러 사람을 빼고 있는데 농업도 결국 그렇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온디바이스 AI 트랙터의 핵심은 무인이라는 표현보다는 ‘인간 개입을 최소화한다’는 것”이라며 “스마트파밍까지 같이 생각하면 농업이 10년 정도 후에는 젊은 친구들이 편하게 하는 무인 빨래방, 무인 아이스크림방과 같이 무노동 농업이 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나 전무는 “노지에서도 트랙터가 로봇이 돼서 작업이 가능하고 시설(예컨대 비닐하우스) 안에도 로봇이 들어가 딸기를 심고 어떻게 성장하는지 카메라로 찍어 밖으로 보여주고 로봇이 가서 수확하는 세상이 올 것”이라며 “사람은 그냥 수확된 것을 판매해 돈을 벌기만 하면 된다. 그렇게 젊은이나 은퇴자가 위험을 줄이면서 농업을 할 수 있게 만드는 게 대동이 꿈꾸는 스마트팜”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포스코와의 낙광로봇 개발 진행 사항도 공개했다.

나 전무는 “개발을 완료해 현재 포스코 광양제철소에서 시험 중”이라며 “낙광로봇은 굉장히 쓸 곳이 많다. 공장에만 쓸 게 아니라 미국에 있는 많은 양계장, 축산 농가에 배설물을 치우는 용도로 충분히 쓸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이와 함께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에 대한 추진 의향도 내비쳤다. 나 전무는 “유럽 법인이 따로 있을 뿐만 아니라 튀르키예에서도 사업을 하고 있어 국가 차원에서 우크라이나 재건지원을 결정하면 현실적으로 움직일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