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최근 호텔 등급 제도 관리가 엉망으로 되고 있다는 사실이 드러나면서 ‘서비스’를 생명으로 하는 호텔은 신뢰를 잃고 있다.
◇ 최고 호텔 등급 받으려면 500만원?
호텔등급심사는 정부 지원을 받아 서울시 관광협회와 한국관광협회 중앙회, 한국관광호텔업협회 등에서 대행하고 있다. 등급을 받기 위해서는 호텔마다 기본금 3만원과 객실당 500원의 수수료를 내면 된다. ‘실비’ 개념의 수수료다.
이상일 의원은 “등급에 따라 가입비 명목으로 300만~500만원 상당의 금품을 요구하고, 가입비를 내지 않으면 등급심사를 받을 수 없는 게 현실”이라고 말했다.
경기도관광협회 관계자는 “(호텔등급제도가)정부 지원 사업이라고는 하지만 정부에서 비용을 지원받는 것은 아니다”라며 “500만원은 협회 가입비로 회원들에는 평생 무료로 등급심사를 해주고 있기 때문에 뒷돈과는 개념이 멀다”고 반박했다.
심사 과정이 불투명할 뿐 아니라 국제적인 심사기준도 없다는 점도 문제다. 호텔 업계 한 관계자는 “점수제도로 이뤄진다고 하지만 심사위원의 주관적인 평가가 개입될 수 밖에 없다”며 “등급 심사를 위한 현장 평가 날짜를 미리 알려주기 때문에 평가 받는 날에만 신경을 쓰면 되는 허점도 있다”고 귀띔했다.
◇ 시중 호텔 절반 이상이 유효 등급 없어
제대로 된 등급 심사를 받지 않은 호텔도 태반이다. 문화체육관광부가 지난 8월 전국 954개 호텔을 대상으로 호텔등급 실태를 조사한 결과, 등급유효기간(3년)이 지난 호텔은 250개(26.2%)에 달했고, 아예 등급조차 받지 않은 호텔은 204개(21.4%)였다. 시중 호텔의 절반(47.6%) 가량이 등급제를 위반하고 있는 것이다.
관광진흥법에서는 숙박시설을 이용하는 관광객에게 선택의 폭을 넓히고 신뢰와 질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호텔등급제도를 의무화하고 있다.
엉터리 호텔 등급에 따른 소비자들의 피해가 예상되면서 문화체육관광부는 내년부터 호텔 등급을 민간협회가 아닌 한국관광공사에서 평가하도록 변경했다.
이상일 의원은 “(등급심사를 위한) 확실한 예산확보와 인력풀이 구성되지 않은 상황”이라며 “오히려 엄청난 혼선을 불러올 수 있을 것 같다. 관련 대책과 계획을 세워야 한다”고 지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