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지난 1월 세계 범용화학 가동률은 전년대비 5.5%포인트 증가한 70%로 나타났다. 특히 중국의 화학 가동률이 같은 기간 60%에서 80%로 급등하면서 전체 상승에 기여했다.
중국산 플랫폼 업체가 미국 등 주요 소비시장에서 급성장하면서 초저가 과소비 트렌드를 만들어냈고, 그 결과 석유화학 수요가 급등한 영향이다. 테무의 경우 성장을 위해 막대한 적자를 감내하고 있다. 지난해 테무는 글로벌 시장에서 2조2900억원에 달하는 마케팅 비용을 썼다.
실제 미국의 2023년 소액 해외직구는 약 10억개로, 2019년보다 약 두 배 늘었다. 한국 인천공항에서의 중국 직구 건수도 2022년 일평균 2만건에서 지난 1월에는 14만건으로 7배 뛰었다.
증권가에선 중국의 초저가 유통 혁신이 유의미한 과소비를 창출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전우제 KB증권 연구원은 “테무가 월간 사용자가 1억6000만명에 달할 정도로 성장하며 세계인들이 값싼 플라스틱 제품의 과소비 주범이 되고 있다”며 “가격이 3~4배 저렴한데다 애매한 디자인, 불량품을 감안해 2개씩 구입하는 경향이 있다”고 짚었다.
소재와 마감의 질이 떨어지는 저가제품을 함부로 사용해 재구입 시점이 빨라지고 있다고도 했다. 전 연구원은 “최소 배달금액 1만4000원을 통과하기 위한 끼워팔기 역시 석유화학 수요를 끌어올리는 요인”이라고 진단했다.
중국산 이커머스 성장이 이어지면서 석유화학 수요가 늘면 기나긴 불황 터널을 지나는 국내 석유화학 업계에도 수혜가 기대된다는 전망도 나온다. 한국석유화학협회에 따르면 국내 석유화학 산업의 기반인 나프타분해설비(NCC) 가동률은 2021년 93.1%에서 지난해 74%로 떨어졌다.
수익성 악화에 국내 석유화학업체들이 범용 석유화학 사업에서 손을 떼고 있지만, 여전히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높다. KDB미래전략연구소에 따르면 국내 4대 주요 석유화학사인 LG화학(051910) 롯데케미칼(011170) 한화솔루션(009830) 금호석유(011780)화학의 범용 석유화학제품 비중은 2022년 기준 59%다. 이는 일본(45%)이나 독일(34%) 대비 높은 수준이다.
전 연구원은 “추가적인 수요 회복을 대비해 롯데케미칼 비중확대를 고려할 수 있다”며 “차선호주는 그동안 경쟁사 증설이 제한적이었던 금호석유화학”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