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서울-부산 '20분 컷'…국토부 '하이퍼튜브' 연구개발 본격화

이배운 기자I 2025.04.09 06:00:00

1200km/h 속도로 주행… 지역 연결성 획기적 개선 기대
''자기부상 추진 기술'' 개발 본격 착수…127억원 투입

[이데일리 이배운 기자] 정부가 올해를 ‘K-하이퍼튜브’ 원년으로 삼고 하이퍼튜브 열차 핵심기술 연구개발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하이퍼튜브 개념도 (사진=국토교통부)
국토교통부는 9일 차세대 초고속 육상 교통수단인 하이퍼튜브의 핵심기술인 자기부상 추진 기술 개발에 본격 착수한다고 밝혔다. 총 사업비는 127억원이며 사업기간은 올해부터 2027년까지다.

‘하이퍼튜브’는 진공에 가까운 아진공(0.001~0.01 기압) 튜브 속에서 자기 부상 기술로 열차를 띄워, 열차와 선로 간 전자기력을 이용해 열차를 강하게 밀어 초고속으로 이동시키는 미래형 교통 시스템이다.

하이퍼튜브는 1200km/h 속도로 주행, 서울역에서 부산역까지 거리를 20분 이내에 주파할 수 있어 지역 간 연결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꿈의 교통 시스템으로 손꼽힌다.

하이퍼튜브 기술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차량을 고속 주행시키는 자기부상·추진 기술 △극한의 아진공 환경(0.001~0.01 기압)을 유지하는 주행 통로인 아진공 튜브 설계·시공 기술 △아진공으로부터 객실 기밀을 유지하며 안정적인 승차감을 제공하는 차량 설계·제작 기술 등이 요구된다.

이번 연구개발 내용은 자기부상·추진 기술 개발에 해당하며, 하이퍼튜브 전용 선로, 초전도 전자석 시스템, 주행 제어 기술, 차체 설계·제작 등 4가지 세부 기술 개발을 통해 차량의 부상·추진을 검증할 계획이다.

국토부는 철도국장을 위원장으로 세부기술 분야별 민간 전문가가 참여하는 ‘하이퍼튜브 핵심기술 개발 사업 추진 TF’를 운영해 주기적으로 연구개발 성과를 점검할 예정이다.

윤진환 국토부 철도국장은 “이번 연구개발은 철로 위 비행기, 하이퍼튜브 기술의 첫 발걸음으로서 큰 의미가 있는 사업으로 지역 균형발전과 인구 절벽으로 인한 지방소멸 위기 해소에 기여할 것”이라며 “꿈의 철도’ 기술 개발로 글로벌 철도 경쟁 시장을 주도하고 세계 각지로 뻗어나가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