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또한 그는 리뉴가 미국의 관세 규정에 따라 인도 공장에서 생산한 제품을 미국으로 수출하는 방안을 고려 중이라고 밝혔다.
미국은 자국 산업 보호를 위해 지난달 말부터 중국 전기차, 태양전지 등에 대해 인상한 관세율을 적용했다. 중국산 태양광 패널이 저렴한 가격으로 전 세계적으로 공급 과잉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1일엔 미국 상무부가 캄보디아, 말레이시아, 태국, 베트남 4개국에서 수입하는 태양광 전지에 상계관세를 부과하기로 예비 판정하기도 했다. 일부 중국 업체들이 태양광 모듈을 동남아 국가에서 조립해 중국산에 부과하는 미국 관세를 우회했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미 태양광 업체들은 관세 대상이 아닌 지역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에너지 및 천연자원 컨설팅 기업인 우드 맥킨지는 향후 몇 년 동안 중국과 동남아시아 외 지역에서 태양광 셀 생산이 2배 이상 증가하고, 이중 40%는 인도가 차지할 것으로 관측했다.
시장조사 기관인 블룸버그NEF(BNEF)에 따르면 지난해 인도의 태양광 패널과 셀 수출은 18억 달러를 넘었으며, 이는 전년도 2억 5000만 달러에서 크게 늘어났다. 이와 함께 인도 제조업체들은 바이든 행정부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시행 이후 미국 공장에 투자를 늘리고 있다.
북미 태양광 제조업체 헬리엔의 마틴 포치타루크 CEO는 “인도 기업의 장점은 중국 기업이 아니라는 것”이라고 말했다. 헬리엔은 과거 베트남과 말레이시아에서 셀을 조달했지만, 이제는 주로 인도에서 셀을 구입해 새로운 관세의 영향을 피하고 있다고 그는 말했다. 지난 7월 헬리엔은 인도 태양광 셀 제조업체인 프리미어 에너지스와 1억5000만달러 규모의 합작 투자하는 미국 공장 건설 계획을 발표하기도 했다.
다만 바이든 행정부의 중국산 태양광 수입품에 대한 자국 보호 조치 강화에도 미국의 태양광 패널 수입량은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FT는 지적했다.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 부과가 에너지 전환을 늦추고 소비자 가격을 인상할 수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BNEF의 폴 레즈카노 선임 애널리스트는 “관세는 효과가 없었다”면서 “제조업체들이 그들에게 필요한 비즈니스 및 공급망 환경을 미국에서 찾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