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연구원은 24일 미국의 컨퍼런스보드 자료를 이용해 이같은 내용을 담은 ‘제조업 생산성 및 단위노동비용 국제비교’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결과에 따르면 41개국 제조업의 노동생산성은 2002~2009년에는 3.4%, 2010~2017년은 3.5%로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반면 한국의 경우 2002~2009년에는 7.0%로 5위를 기록했지만 2010년 이후 빠르게 둔화하면서 연 2.8%로 28위로 순위가 급격히 내려갔다. 한경연은 “일본(4.1%), 독일(4.0%) 등 주요 선진국보다 낮은 수치로 금융위기 이후 노동생산성 상승세가 다른 나라보다 급격히 둔화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
41개국의 제조업 단위노동비용 증가율은 2002년~2009년 연평균 6.0% 늘었지만 금융위기 이후인 2010~2017년은 1.7% 감소했다. 세계 제조업 경쟁력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전반적으로 개선됐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단위노동비용’이란 제품을 하나 만드는데 소요되는 노동비용으로 제조업 단위노동비용 증가율은 제조업 경쟁력 측정지표로 활용한다. 단위노동비용이 감소하면 적은 노동비용으로 같은 제품을 생산하기 때문에 경쟁력이 올라간다.
|
이에 따라 한국의 제조업 경쟁력은 동아시아 주요 제조 경쟁국에 비해 퇴보했다.
2009년 대비 2017년 1인당 노동생산성은 중국이 93.1%, 싱가포르 71.7%, 대만 38.7%, 일본 38.1% 증가해 한국(24.4%)을 크게 앞질렀다.
같은 기간 단위노동비용은 중국 39.1%, 한국 19.3%, 대만 1.5%, 싱가포르 -16.0%, 일본 -33.4%를 기록, 중국과 한국은 단위노동비용이 대폭 상승한 반면 일본·싱가포르 등은 크게 낮아져 중국을 제외하면 비교국과 한국 간 제조업 경쟁력 격차가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광호 한경연 일자리전략실장은 “최근 우리경제 선도산업인 제조업의 생산성 상승세가 꺾이고 단위노동비용이 늘어나면서 국제 경쟁력에 적신호가 켜졌다”며 “국내에서 유연근로시간제 개편, 최저임금 인상 등 중요한 경제이슈를 다룰 때 생산성과 경쟁력 논의가 부족한 측면이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