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는 지난 12일 기획재정부의 민간투자사업심의위원회 심의 결과 위례신사선 경전철 민자사업 지정을 취소했다는 내용의 고시를 19일 서울시보에 게재했다.
위례신도시에서 신사동까지 연장 14.7㎞, 정거장 11개소, 차량기지 1개소를 조성하는 이번 사업은 치솟은 공사비와 사업성 부족 등 이유로 건설사들로부터 외면을 받았다. 서울시는 최초 공고 당시 제시한 1조 4847억원의 사업비를 올 하반기 두 차례에 걸쳐 1조 7605억원, 1조 8380억원으로 늘려 재공고를 실시했지만 끝내 시공사를 찾지 못하며 재정사업으로 추진을 본격화한 셈이다.
문제는 6년의 공사기간 외에도 예타에만 1~2년 가량 걸려 사업 지연이 불가피하다는 점이다. 지난 2008년 최초 사업제안이 이뤄진 이후 올해까지 16년째 답보상태를 걸었던 만큼 “더 이상 기다릴 수 없다”는 위례신도시 주민들의 반발이 거세지는 까닭이다. 일부 주민들 사이에선 사업비를 더 올려 민자사업으로 다시 추진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적잖다.
재정사업으로 추진 중인 다른 경전철 노선들이 예타에 발목 잡혀 있다는 점 역시 위례신도시 주민들의 우려감을 키우는 대목이다. 목동에서 청량리까지 연장 25.7㎞를 잇는 강북횡단선과 신월동에서 당산까지 10.9㎞를 잇는 목동선이 각각 올해 6월과 7월 연달아 기재부 재정사업평가위원회 예타 심의를 통과하지 못했다. 현재 예타 심사를 받고 있는 보라매공원-난향동 연장 4.1㎞ 난곡선 역시 낮은 경제성에 통과가 불투명한 상황이다.
이와 관련 성북구는 지난달 말 ‘강북횡단선 재추진 촉구 범 구민 결의대회’를 열고 경전철 재정사업이 “경제논리 앞에 좌초돼 공공성이 무색해지고 있다”며 강한 우려의 목소리를 내기도 했다. 성북구는 한 달 간 강북횡단선 재추진을 촉구하는 구민 26만명의 서명이 담긴 서명부를 지난달 29일 서울시에 전달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