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김관용 기자] 국방부 근무지원단 내 군사경찰대대(옛 헌병대대)의 특정인 ‘동향파악’ 의혹은 끊이지 않았던 이슈다. 특히 특정 군사경찰대대장 재임시 전방위적인 ‘사찰’ 얘기가 나돌았다.
본인이 궁금해 하는 사람에 대한 국방부 출입기록 등 이동 경로를 확인하고 누구를 만나 무슨 얘기를 했는지까지 보고 받았다는 것이다. 이에 더해 국방부 영내 시설물 경계 임무를 수행해야 할 군사경찰들에게 출입기자들의 활동을 추적하고 보고케 했다는 의혹도 제기된다. 사실일 경우 직권남용에 해당할 수 있는 혐의다.
|
제보에 따르면 당시 군사경찰대대장은 국방부 장관과 차관의 출·퇴근과 청사 출입 등을 부대원 전체가 있는 메신저 대화방이나 근무대장 및 소대장 개인 메시지를 통해 실시간으로 보고받았던 것으로 보인다. ‘장관 ㅇ문 통과, 이동중, 입청’ 등의 식이다.
청사 내 장관실을 지키는 초병들로 하여금 누가 장관을 만나러 왔는지 등까지 보고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또 각 군 참모총장들의 국방부 입·퇴청 사실 뿐만 아니라 부대원을 시켜 몇 층의 누구를 만나러 가는 것인지도 확인했다고 한다.
자신의 직속 상관인 근무지원단장 관련 동향 역시 마찬가지다. 단장의 아침식사 여부까지 확인한 것으로 전해진다. 본지가 확인한 휴대전화 메시지 중에는 단장이 출근을 했는데도 위병 간부들의 출근 보고가 없자 이를 다그친 것으로 추정되는 대화가 있었다.
“충성! (단장) 부관은 함께 출근하지 않아 본관을 가신 것은 정확하게 알 수 없고, 현관 근무자 중 1명은 단장님을 보았고 식사하러 가시는 것을 보았다고 하였으나 다른 근무자들은 보지 못하였다고 합니다.”
“충성! 근무자가 본관 식당 직원에게 확인하여 0750경 까지 본인과 대화 후 식당을 나가셨다고 확인하였습니다. 서현관으로 입청하시어 식당 이동 후 직원과 대화 후 퇴장. 이후 퇴청 현관이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사실대로 보고드리고 입퇴청 확인 잘 하겠습니다. 죄송합니다.”
또 확인된 텔레그램 메시지 중에는 단장의 국방부 본관 방문시 선임 장교가 “단장님이 뭐하시고 뭐 말하는지 잘 한 번 봐”라는 지시가 있고 하급 장교가 “알겠다”고 한 내용이 있다. “지휘부 방에 보고했다”고 언급한 걸로 미뤄볼 때 군사경찰대대장에게 보고하기 위한 지시로 해석된다.
◇‘도촬’한 특정 서류 등도 보고받아
특히 해당 대대장은 자신의 병과 수뇌부인 육군본부 군사경찰실장과 국방부 조사본부장 및 차장 등의 국방부 청사 출입도 실시간으로 보고받았다고 한다.
실제로 본지가 확인한 휴대전화 메시지 중에는 “충성! 조사본부장님과 중수단장님 등 4명 장관실로 들어가셨습니다.”라는 내용이 있었다.
군사경찰 간부들이 국방부 청사로 들어온 이들을 쫓아가 누구와 어떤 얘기를 했는지를 대대장에게 보고 했다는 제보도 있다. 모 간부가 군사경찰 병과 수뇌부의 서류를 휴대전화로 촬영해 군사경찰대대장에게 보고한 사례도 있다고 한다. 당시는 병과 명칭을 기존 헌병에서 군사경찰로 바꾸는 방안을 검토하던 때다.
이 대대장은 자신의 관할도 아닌 다른 부대 병사들이 국방부 매점에서 라면을 먹었던 것까지 알고 싶어했던 것 같다. 부대원들을 시켜 이를 확인케 하고 보고도 받은 것이다.
“AV 지원반 병사들이 어제 중식시간 전 매점에서 라면을 먹은 적이 있다고 합니다.”
국방부를 출입하는 언론사 출입기자 관련 동향도 파악한 것으로 보인다. 특정 기자의 영내 출입부터 청사 내 기자실로 들어가는 것까지 보고받았다는 전언이다. 국방장관 출근시 기다리고 있던 기자들이 뭘 질문했고 장관은 어떻게 답변했는지 등도 확인했다고 한다.
게다가 공보관도 아닌 군사경찰 인원들에게 기자들의 취재 내용과 보도 일시 등을 확인케 한 것으로 전해졌다. 실제로 아래 메시지는 대대장이 실제 보도가 되는지 여부까지 알고 싶어했다는 걸로 보인다.
“충성! ㅇㅇㅇ기자가 본청1층에서 방역 안내판과 지하1층 통제 장면. 매점 쪽 사람이 없는 장면 등을 스케치했습니다. 현재까지 활용 계획은 없다고 하나 활용 여부 확인하겠습니다.”
|
이 외에도 군사경찰은 출입문 밖 영외에서 시위하는 사람들의 SNS 방송을 공유하고 그들의 페이스북 계정까지 추적해 프로필을 대대장에게 공유한 것으로 전해졌다.
부대원들에 따르면 대대장은 이같은 보고를 주로 추적이 어려운 ‘텔레그램’을 통해 받았고 정기적으로 이를 삭제했다고 한다. 국방부 본관 1층 중앙현관 군사경찰 PC에는 대대장 지시사항 등을 소대장들이 전파해 근무자들이 기록 및 저장해 두는 파일이 있는데 본지 취재 과정에서 삭제됐다는 의혹이 제기된다.
◇국방부, 한 사례만 확인 ‘주의’조치
해당 대대장은 본지 취재 과정에서 특정인에 대한 국방부 출입기록 및 이동경로 확인 지시 관련 질문에 “지시한바 없고 보고도 받지 않았다”고 반박했다.
또 특정 군무원의 출·퇴근 시간 조사 지시와 관련해서는 “체육대회 대비 족구 경기 중 모 군무원이 ‘빨리 비켜라’고 족구장 안에 들어와 무례하게 행동해 대대 간부와 실랑이가 있었고, 이에 본청 소대장에게 ‘출·퇴근은 잘하는지 확인해 봐라’라고 농담조로 언급한 적은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출·퇴근 기록은 국방부 운영지원과 소관으로 소대장이 확인불가한 사항”이라며 “실제 확인한 사실도 없다”고 했다.
하지만 부대원들 얘기는 다르다. 자신이 지시한 사람의 출·퇴근 기록 등을 왜 보고하지 않느냐고 질타하기까지 했다는 것이다. 그래서 기록을 열람할 권한이 없기 때문에 병사들에게 해당 인물의 사진을 외우게 해 ‘수기’로 작성토록 했다는 설명이다.
국방부 감사관실은 직무감찰을 통해 모 군무원 출근 관련해서만 “부적절한 발언을 해 청사 근무병이 특정 군무원의 출·퇴근을 확인하는 물의를 야기해 주의 처분했다”고 밝혔다. 다른 정황들은 조사 조차 하지 않았다는 지적이 제기되는 이유다.
이에 따라 해당 대대장이 전방위 사찰을 한 이유와 이를 어디에 활용했으며 어디까지 보고했는지 등에 대해선 파악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