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크롱 대통령은 2일(현지시간) 프랑스 일간지 르 피가로와의 인터뷰에서 “프랑스와 영국은 우선 우크라이나에서 공중, 해상, 에너지 인프라에 대한 1개월 간의 휴전을 제안했다”고 말했다. 이어 “처음에는 지상전은 포함하지 않을 것”이라며 “광범위한 최전선의 규모를 감안할 때 지상전이 멈췄는지 확인하기가 매우 어려울 것이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18명의 서방 지도자들이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을 위해 영국 런던에서 진행한 회담에서 이같이 제안했으며, 영국도 동의했다는 설명이다. 앞서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는 이날 오전 프랑스 및 기타 국가들과 협력해 휴전안을 마련한 뒤 미국에 제안하겠다며 정상회담에서 합의한 4가지 계획을 발표했다.
마크롱 대통령은 또 유럽에서 논의 중인 우크라이나에 대한 평화유지군 파견과 관련해 “(당장) 수주 이내에 우크라이나에 배치할 수는 없을 것이다. 나중에 배치될 것”이라고 말했다.
마크롱 대통령은 유럽에 대한 미국의 입장 변화에 발맞춰 “국방비를 국내총생산(GDP)의 3.5%까지 늘려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는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지난 3년 동안 GDP의 10%를 국방비로 썼다. 우리는 다음에 올 상황에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마크롱 대통령은 전날 르 몽드 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차기 독일 총리로 유력한 프리드리히 메르츠 기독민주당(CDU) 대표의 요청에 따라 “유럽의 핵 억제력에 대한 논의를 시작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유럽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탈퇴를 시사한 이후 “더이상 미국에 의존할 수 없다”며 관련 방안을 논의해 왔다.
그는 지난달 28일 미국 백악관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진행하면서 “우크라이나 전쟁의 침략자는 러시아”라는 뜻을 분명히 밝히기도 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의 나토 가입 시도가 전쟁의 원인이라고 주장한 것을 정면 반박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