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의 숲'에서 갈피 잃은 나를 찾다 [여행]

김명상 기자I 2024.08.03 08:45:56

자연과 건축물이 어우러진 대구 군위 ‘사유원’
수목원이자 건축물·정원 조화 이룬 이색 공간
설립자가 수집한 나무 심을 공간으로 마련돼
알바로 시자, 승효상 등 유명 건축가 작품도

시원한 물에 발을 담근 채 팔공산과 사유원을 바라볼 수 있는 장소인 ‘탁족’
[군위(대구)=글·사진 이데일리 김명상 기자] “사유한다는 것은 충만하게 살아간다는 것과 같은 말이다.”

독일 출신의 미국 정치철학자 한나 아렌트는 ‘사유’(思惟)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렇게 말했다. 인간을 인간답게 하는 ‘사유’(思惟)를 전면에 내건 수목원이 국내에 있으니 팔공산 부근에 자리한 ‘사유원’이다. 하루 최대 350명에게만 출입이 허락된 산속 정원이자, 자연과 건축을 매개로 삶과 죽음에 대해 생각하게 하는 곳이다. 대구 군위군 부계면에 자리한 약 33만㎡ 규모의 사유원 대지에는 설립자가 오랜 기간 수집한 나무와 바위가 빼곡하게 들어서 있다. 자연의 매력에 유명 건축가, 예술가, 조경가 등 전문가의 노력이 더하면서 세상 어디에도 없는 독특한 수목원이 탄생했다.

◇개인 나무 보관 공간에서 ‘생각의 숲’으로

수령 300년 이상의 모과나무 108그루를 모아 놓은 ‘풍설기천년’
사유원의 의미는 ‘대상을 두루 생각하는 곳’이다. 일반적인 수목원과 달리 이름 그대로 사색에 더 방점을 둔 공간이다. 방문객이 단순히 식재된 수목을 보는 것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자신을 들여다보는 시간을 갖길 바라는 소망을 담았다.

사유원은 유재성 TC태창(태창철강) 회장이 조성했다. 2006년 팔공산 주변 산을 매입한 이후 2009년부터 정원을 꾸미기 시작해 2021년 9월 문을 열었다. 사실 유 회장이 소유한 나무를 심기 위해 마련한 철저히 개인적인 공간이었다. 정원과 나무에 관심이 많던 유 회장은 소나무, 소사나무, 배롱나무, 모과나무 등 꾸준히 사 모은 수목을 옮겨심을 적당한 자리를 물색하다 팔공산이 병풍처럼 펼쳐진 현 사유원 부지를 낙점했다. 초대를 받아 방문한 지인마다 “이렇게 멋진 곳을 다른 사람도 볼 수 있으면 좋겠다”고 말했고, 유 회장은 오랜 고민 끝에 2021년 개장을 결정했다.

별을 보는 제단으로 만들어진 ‘첨단’
사유원은 평일 300명, 주말 350명의 관람객만 받는다. ‘하루에 몇 명이 들어와야 혼자인 것처럼 느낄 수 있는지’를 공간 전문가에게 문의해 얻은 결과 값을 참고했다. 이곳이 사유의 공간으로 오롯이 남길 바라는 마음의 크기를 짐작할 수 있는 대목이다.

사유원에는 30여 개의 건축물과 9개의 정원이 마련돼 있다. 모든 공간에는 각 분야 전문가와 장인들의 땀과 노고가 스며 있다. 먼저 ‘건축가들의 건축가’라는 별명을 가진 포르투갈의 알바로 시자를 비롯해 한국의 대표 건축가 승효상이 참여한 작품이 곳곳에 자리한다. 4년에 한 번 최고의 조경가를 선정하는 제프리 젤리코 상을 받은 정영선 조경가가 빚은 공간도 만날 수 있다.

사유원의 계곡과 골짜기는 매립하거나 인위적으로 건드리지 않은 채 원래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송은정 사유원 이사는 “건축 작품을 ‘땅 위에 살짝 얹어놓은 듯’ 최대한 자연을 훼손하지 않고 주변과 어울리게 지은 것이 특징”이라고 설명했다.

◇마음의 안식…‘삶과 죽음’을 마주하다

‘눈 감고 죽음을 생각하는 집’이라는 의미의 ‘명정’
많은 건축물 중에서도 ‘눈 감고 죽음을 생각하는 집’이라는 의미의 ‘명정’은 죽음 이후 들어가는 ‘관’을 표현하기 위해 땅을 깊이 팠다. 내부로 들어가면 높다란 콘크리트벽이 시야를 차단하고 하늘만 보인다. 사람이 죽으면 관에 누워서 하늘을 바라보는 것 같이 세상을 떠났을 때를 생각하고 자신을 돌아보는 ‘내면 전망대’인 셈이다.

액자에 담긴 것 같은 풍경을 보여주는 사유원의 전망대 ‘소대’
사유원 내 건축물은 밖에서 잘 보이지 않지만 알바로 시자가 설계한 ‘소대’는 예외다. 높이 20.5m의 소대는 15도 기울어진 독특한 형태의 전망대다. 멀리서 보면 숲을 뚫고 솟아 나온 듯한 모양새다. 당초 설립자인 유재성 회장은 건축물이 드러나는 것에 반대했으나, 알바로 시자의 설득 끝에 소대를 지었다. ‘새들의 전망대’란 별칭답게 소대를 오르다 보면 사유원의 전경과 저 너머 팔공산의 모습을 볼 수 있다. 360도로 주변을 탁 터놓은 전망대를 예상했지만 오히려 벽에 창을 내듯 가려져 있다. 군데군데 벽을 뚫은 제한적인 열림을 통해 액자에 넣은 듯한 풍경을 가슴에 담도록 한 설계자의 의도가 엿보인다.

수령 300년 이상의 모과나무 108그루를 모아 놓은 ‘풍설기천년’
‘바람과 눈, 비를 맞으며 어언 천 년’이라는 뜻을 가진 ‘풍설기천년’은 수령 300년 이상의 모과나무 108그루를 모아 놓은 정원이다. 과거 유 회장이 일본으로 팔려나가는 모과나무 4그루를 보고 안타깝게 여겨 거래가 4배의 웃돈을 주고 사들인 것이 시초가 됐다. 가장 나이가 많은 모과나무의 수령은 650년이 넘는데 그동안 버텨온 세월의 무게를 가늠조차 하기 어렵다.

소요헌 내부의 철제 구조물은 1937년 독일군 공습 당시 게르니카 주민의 집을 뚫고 들어온 포탄을 상징한다
사유원 내 알바로 시자의 작품 중에서도 ‘소요헌’은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 원래 소요헌의 설계도는 피카소의 작품 ‘임신한 여인’과 ‘게르니카’ 전시를 위한 것이었지만 빛을 보지 못했다. 이를 알게 된 유재성 회장이 한국전쟁의 격전지였던 군위에 서랍 속에 잠든 작품을 구현하자고 제안했고 5년의 설득 끝에 뜻을 이뤘다.

삶과 죽음은 결국 순환한다는 메시지를 담은 ‘생명의 알’
소요헌 내부의 검붉은색 철제 구조물은 1937년 독일군 공습 당시 게르니카 주민의 집을 뚫고 들어온 포탄을 상징한다. 다른 쪽에는 ‘생명의 알’이 놓여 있다. 게르니카와 군위군, 그리고 역사에 남은 죽음의 아픔은 이곳에서 새로운 탄생으로 치유되고 삶으로 순환된다.

놓칠 수 없는 곳은 행구단이다. 공자가 살구나무 언덕에서 제자를 가르쳤다는 데서 유래한 전망대다. 바로 옆에 마련된 ‘탁족’에서는 시원한 물에 발을 담근 채 팔공산과 사유원을 바라보며 사색을 즐길 수 있다.

유명 건축가 알바로 시자가 설계한 예배당인 ‘내심낙원’
이 밖에도 사유원에는 설립자의 개인 공간으로 쓰던 ‘현암’, 하얗게 칠한 작은 예배당인 ‘내심낙원’, 물의 정원 ‘사담’, 한국 정원의 풍류를 담은 ‘유원’, 별을 보는 제단 ‘첨단’, 200년 넘은 배롱나무가 가득한 ‘별유동천’ 등이 있다. 모두 설립자의 애정이 담뿍 담긴 공간이자 방문객을 사유의 바다에 빠뜨리는 곳들이다.

한국 정원의 풍류를 담은 ‘유원’
사유원 내부의 멋진 건축물과 정원을 숙제하듯 보기 위해 바삐 다닐 필요는 없다. 이곳의 진정한 주인은 자연이다. 느긋하게 다니다 마주하는 작품과 공간에서 자신과 삶을 들여다보는 기회로 삼는 것을 추천한다.

별을 보는 제단인 ‘첨단’에서 내려다본 사유원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