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일 대학가에 따르면 국민대 외에도 서울대·서강대·한국외대·한양대 등이 내년 입시부터 무전공 입학을 확대한다. 서울대는 현재 정원 123명인 자유전공학부를 400여 명 규모의 학부대학으로 개편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서강대도 2025학년도 대입부터 인공지능 기반 자유전공학부를 신설키로 했다. 서강대 관계자는 “자유전공학부 신설 결정은 맞지만 선발 인원은 아직 미확정”이라고 했다.
한양대도 자유전공학부인 한양인터칼리지를 신설한다. 선발 인원은 정원 내 기준 250명이지만, 정원 외를 포함하면 300명 이상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한국외대는 박정운 총장이 최근 신년 하례식에서 무전공 입학을 확대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한국외대 관계자는 “정부의 무전공 입학 확대 정책에 맞춰 2025학년도부터 무전공·광역 단위로 신입생을 모집할 예정”이라고 했다. 이 외에도 건국대·고려대·연세대·중앙대 등이 무전공 선발 확대 논의에 착수했다. 서울 소재 한 사립대 관계자는 “고려대와 연세대가 내놓을 입시안을 보고 무전공 선발 확대안을 결정하려는 대학이 많을 것”이라고 했다.
대학이 무전공 선발을 확대하려는 이유는 교육부의 재정 지원 때문이다. 교육부는 교원확보율·교육비환원율 등 교육여건·성과를 평가, 일정 기준을 충족한 대학에 일반재정지원을 하고 있다. 교육부 기준을 통과한 사립대에는 대학혁신지원사업비(올해 기준 8852억원)를, 국립대에는 국립대육성사업비(5722억원)를 배정한다.
교육부는 총 1조4574억원에 달하는 대학 재정 지원예산 중 30~40%를 떼어내 무전공 입학으로 학생 선택권을 확장한 대학에 인센티브로 주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수도권 사립대 51곳과 국립대 22곳이 적용 대상이다. 교육부는 이들 대학이 2026학년도까지 모집정원 10~30% 정도를 무전공으로 선발토록 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신입생 충원난이 심각한 지방 사립대와 특수 목적을 갖는 교대·해양대 등은 제외했다.
|
서울 소재 상위권 대학들이 무전공 선발 확대를 추진하면서 이런 움직임은 다른 대학으로도 확산할 전망이다. 무전공 선발을 확대하면 추가적 재정 지원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이 대학을 움직이는 지렛대가 되고 있다. 정부의 등록금 동결 정책이 올해로 16년째 이어지고 있어 추가적 국고 지원을 받으려는 수요가 많아서다.
대학들의 무전공 선발 확대는 학과 구조조정을 가속화 할 전망이다. 학령인구가 감소하는 상황에서 모집정원의 최대 30%의 학생이 자유롭게 전공을 선택한다면 산업·사회적 수요가 큰 전공·학과로 몰릴 수밖에 없다. 비인기 전공은 자연스럽게 도태될 수 있는 것. 전공 선택권이 확대되면 학생에게는 호재이지만, 소속 전공·학과 기반이 흔들릴 수 있는 교수들에겐 악재란 평가가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한 수도권 대학 총장은 “과거에는 교수들이 학과를 만들고 가르치고 싶은 것만 가르쳤는데 학령인구 감소 시대에는 학생에게 전공 선택권을 확대해주고 대학·학과가 학생의 선택을 받아야 한다”고 했다.
기초·순수 학문이 위협받을 것이란 우려도 여전하다. 반상진 전북대 교육학과 교수는 “학생 모집이 어려운 지방대에는 자율성을 줘야 하는데 정부가 재정 지원을 빌미로 무전공 선발을 강제화하고 있다”며 “이렇게 되면 문·사·철 등 인문계열은 고사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했다. 이 때문에 기초·순수 학문이 명맥을 이어가도록 보호 장치를 마련하자는 제안도 나온다.
무전공 입학 확대가 2025년 전면 시행 예정인 고교학점제와 배치된다는 주장도 있다. 고교학점제 자체가 고교에서 적성·진로를 찾도록 하는 제도인데 대학에서 무전공 입학을 다시 확대하는 게 맞느냐는 지적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무전공 선발 확대 시안을 연구한 정책 연구진이 모 대학을 조사한 결과 신입생 60%는 적성·진로를 찾지 못한 채 입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런 점을 감안해 30% 정도를 무전공 입학으로 개선하자는 취지”라고 말했다.